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2.22 11:05:02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AI 챗봇(챗GPT 등),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장비, 3D 낸드(NAND), 초전도체,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공기청정기, 황사/미세먼지, 영화, LED,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IT 대표주, 무선충전기술,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반도체 대표주(생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약세 테마손해보험, 생명보험, 야놀자(Yanolja), 타이어, 국내 상장 중국기업,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조림사업, 제4이동통신, 웹툰, 백신여권, STO(토큰증권 발행), 줄기세포, 토스(toss), 리튬, 증권, 면역항암제, 종합 물류, 은행, 통신, 광고, 정유, 홈쇼핑, 면세점, 사료, 니켈, 비만치료제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반도체 관련주엔비디아 어닝 서프라이즈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21일 엔비디아는 작년 4분기 221억 달러의 매출과 5.15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힘. 매출은 시장조사기관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 206억2,000만 달러를 웃돌았고, 주당 순이익도 전망치 4.64달러를 뛰어넘었음. 엔비디아는 이번 매출 증가에 대해 H100과 같은 서버용 AI 칩 판매 호조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음. 아울러 엔비디아는 올해 1분기 240억 달러의 매출을 기대한다고 밝힘. 이는 월가 전망치 221억7,000만 달러의 8%를 웃도는 수준임. 이에 정규장 시장에서 하락 마감했던 엔비디아가 시간외 거래에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음.

▷이 같은 소식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앤씨앤, 네패스아크, 레이크머티리얼즈, 피에스케이, 가온칩스, 퀄리타스반도체 등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대표주(생산), HBM(고대역폭메모리), 온디바이스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수출입은행법 개정안 국회 소위 통과 소식 등에 상승
▷한국수출입은행의 법정자본금 한도를 현행 15조 원에서 25조원으로 늘리는 수출입은행법(수은법) 개정안이 전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경제재정소위를 통과했음. 현행법상 수출입은행은 특정 개인·법인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를 자기자본의 40%로 제한하고 있어 방산 사업 같은 초대형 수주 사업의 경우 금융 지원 여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돼온 바 있음.

▷한국 방산업체들이 폴란드 정부와 맺은 방산 계약의 경우 17조원 규모의 1차 계약 때 이미 금융 지원 한도를 모두 채워, 30조원 규모의 2차 계약을 위해선 법정자본금 한도 증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음. 이에 따라 그간 대출 여력 부족으로 폴란드 무기 수출 2차 계약의 금융지원에 어려움을 겪던 한국 방산업계에 숨통이 트이게 됐음. 개정안은 오는 23일 기재위 전체 회의에 상정되고, 이어 법사위 심사를 거쳐 29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전망임.

▷한편, 정부가 올해 안으로 미국과 방산시장을 상호 개방하는 한·미 국방상호조달협정(RDP-A)을 체결하기로 했음. 국가안보실은 전일 방산수출전략평가회의를 열고 “우리 기업의 글로벌 방산시장 진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한·미 국방상호조달협정이 연내 체결될 수 있도록 미측과 긴밀한 협력하에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힘. 이러한 협정이 체결되면 국내 방산업체가 미군에 무기를 수출할 때 가격 페널티나 세금 부과 등 불이익을 면제받을 수 있게 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코츠테크놀로지, 현대로템, 풍산, SNT다이내믹스, 삼영이엔씨,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한화에어로 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8 15:30
SK하이닉스 282,000 11,000 +4.0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9 05: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