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주 PBR 여전히 낮아...자본비율 높은 곳 주목해야”

명지예 기자(bright@mk.co.kr)

입력 : 2024.03.04 10:25:57
서울 시내에 주요은행 ATM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김호영기자]


키움증권은 4일 은행주에 대해 밸류업 정책 발표와 배당락으로 주가가 높은 변동성을 보였지만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39배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정책발표와 은행주 배당락일이 겹친 한주가 지나며 은행주 주가는 큰 변동성을 보였고 배당락을 회복하고 있다”며 “주가 등락 이후 은행업종 PBR은 올해 말 주당순자산가치(BPS) 기준으로 시가총액 가중평균 0.39배, 단순평균 0.35배”라고 말했다.

은행주 PBR이 절대값으로도 낮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 전망치 9.1%를 감안하면 평가가치(밸류에이션)상 부담이 적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주가가 단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한 느낌을 줄 수도 있겠지만 최근 4년간 원래 움직이던 PBR 범위 내에서 빠르게 움직인 정도로 볼 수도 있다”며 “은행주 주가는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하게 된 것으로 보여 주가가 밸류업 이전 수준으로 급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두 달 동안 은행주 업종지수는 14.2% 상승해 0.5% 하락한 코스피 대비 14.7%포인트 초과수익을 달성했다. 하나금융의 수익률이 30.4%로 가장 높았다.

밸류업 정책이 알려지기 시작한 1월 3주차 이후 수익률은 하나금융, KB금융, JB금융 순이었다. 이들 종목은 신한지주와 더불어 자본비율이 높은 종목들이다.

김 연구원은 은행업종 최선호주로 하나금융을 꼽았다. 그는 “밸류업 정책이 은행주에 관심을 돌리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한 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주를 우선할 것을 권한다”며 “자본비율이 높아야 향후 주주환원 강화에 보다 적극적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4 06:4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