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GM, 중국 신장 부품 썼나…美 상원 조사 착수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 위반 여부 확인키로…8개 업체 대상
고일환
입력 : 2022.12.23 06:25:57
입력 : 2022.12.23 06:25:57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테슬라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수입이 금지된, 중국 신장 위구르에서 생산된 부품을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미국 상원이 조사에 착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재정위원회가 최근 테슬라와 GM 등 자동차 제조업체에 부품 및 원료 납품업체들에 대한 정보 제출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상원 재정위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제출한 납품업체 명단을 바탕으로 강제 노동의 산물로 의심되는 중국 신장 위구르에서 생산된 부품이나 원료가 사용됐는지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미국은 신장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완성 제품뿐 아니라 생산 과정에서 신장의 원료, 반제품, 노동력을 '부분적으로' 활용한 제품도 수입 금지 대상으로 규정했다.
상원 재정위는 테슬라와 GM 이외에도 포드와 메르세데스 벤츠, 혼다, 도요타,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등 모두 8개 업체에 이 같은 요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원이 조사에 나선 것은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장에서 생산된 부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영국 셰필드 할람대학은 일부 대형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장에서 생산되거나, 위구르족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금속과 배터리, 전선, 바퀴 등을 사용한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신장의 제조업체들에 각종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생산을 독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소속인 론 와이든 상원 재정위원장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보낸 서한에서 "자동차에는 세계 각지에서 생산된 제품이 사용되고, 납품 과정도 복잡하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인권 수호와 법 집행이라는 원칙을 양보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상원의 움직임에 대해 GM은 납품 과정을 철저하게 감독하고 있기 때문에 법 위반 가능성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나머지 업체들은 현재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는 상태다.
kom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주요국 중앙은행 '골드러시'…한은은 11년째 제자리
-
3
“월급은 똑같은데 배춧값은 70% 올랐다”…무너진 생활 물가에 서민경제 비상
-
4
미국, K푸드 최대 시장 올랐는데…관세전쟁에 수출 빨간불
-
5
AI 거센 파도, 올라탈까 피할까…'인생 이모작' 갈림길
-
6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한계기업…8년 새 2.7배↑
-
7
“고급 해산물 대표주자였는데”…10년새 반값으로 떨어진 이것, 왜?
-
8
[뉴욕증시-1보] 알파벳 실적 실망에도 저가 매수세…동반 강세
-
9
[팩트체크] 로또복권은 현금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
10
미트박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