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초 부산행 KTX열차 탈선 원인은 바퀴 '피로 파괴'
사고조사위 결과 발표…코레일에 열차바퀴 안정성 확보 권고
박초롱
입력 : 2022.12.26 09:00:02
입력 : 2022.12.26 09:00:02

(영동=연합뉴스) 5일 충북 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6분께 서울에서 동대구로 가던 KTX-산천 열차가 철로를 이탈했다.사고는 터널 내 철제구조물이 떨어지면서 열차를 추돌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은 사고 현장 모습.2022.1.5 [충북소방본부 제공.재배포 및 DB 금지] kw@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올해 1월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향하던 KTX-산천 열차가 탈선한 원인은 열차 바퀴의 '피로 파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로 파괴는 철재나 목재 등에 진동이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미세균열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파괴되는 현상을 뜻한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 1월 5월 오후 12시 46분쯤 충북 영동군 영동터널 진입 중 발생한 KTX-산천 궤도이탈 사고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당시 열차가 철로에서 이탈하면서 자갈이 튀어 올라 객실 유리창이 깨졌고, 짐칸에 있던 물건이 떨어지면서 승객 7명이 다쳤다.
조사 결과 사고는 열차 중간부(5∼6호차 사이) 차량의 오른쪽 바퀴가 파손되면서 발생했다.
이 상태에서 KTX가 운행되다 1km 정도 지난 지점에서 차축이 떨어져 나갔고 3km 지난 지점에서 제동장치 공기관이 파손돼 비상제동이 걸렸다.
파손된 바퀴는 사용 한도(마모한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였다.
마모에 따라 바퀴 지름이 850mm가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사고 당시 지름은 869mm였다.
그러나 바퀴의 단단한 정도를 뜻하는 경도와 잡아당기는 힘에 버티는 인장강도는 최소 허용치보다 낮은 상태였다.
기존의 초음파검사 방식으로는 바퀴의 내부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영동=연합뉴스) 5일 충북 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6분께 서울에서 동대구로 가던 KTX-산천 열차가 철로를 이탈했다.사고는 터널 내 철제구조물이 떨어지면서 열차를 추돌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은 깨진 KTX 열차 내부 모습.2022.1.5 [독자 제공.재배포 및 DB 금지] kw@yna.co.kr
사고조사위원회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KTX 바퀴의 발주, 제작, 검사, 유지관리 전 단계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라고 권고했다.
특히 바퀴의 내부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초음파검사 방식과 주기를 개선하라고 지적했다.
또 광명역에서 제어를 담당하는 권역(서울역 기점 33∼45㎞)에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열차가 흔들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를 검토하고 필요시 개선 조처를 하라고 권고했다.
국토교통부는 고속열차 바퀴에 대한 안전성과 품질 확보 여부를 점검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chopar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그러게 금 보다 낫다니까?”…한 달도 안 돼 18% 급등한 ‘디지털 금’
-
2
엔비디아, 사우디에 '블랙웰' 1만8천개 공급…주가 5.6%↑(종합)
-
3
뉴욕증시, 관세휴전에 기술주 강세…S&P500 연간수익률 플러스로
-
4
"생성형 AI, 자유의지 가질 조건 충족…윤리 기준 마련해야"
-
5
뉴욕증시, 기술주는 웃고 우량주는 울고…혼조 마감
-
6
“한국과 중국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라이벌”…트럼프발 관세전쟁 해법은
-
7
웹툰 엔터, 1분기 영업손실 387억원…매출은 작년 수준 유지
-
8
[뉴욕증시-1보] CPI 호조 속 우량주 매도세…혼조 마감
-
9
SK하이닉스, 대기업 경영평가 6년만에 1위…삼성전자 2년 연속 2위
-
10
"北, 中에 35개 유령회사 차려 美 등의 업체에 IT인력 위장취업"
05.14 06:5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