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초 부산행 KTX열차 탈선 원인은 바퀴 '피로 파괴'
사고조사위 결과 발표…코레일에 열차바퀴 안정성 확보 권고
박초롱
입력 : 2022.12.26 09:00:02
입력 : 2022.12.26 09:00:02
![](https://stock.mk.co.kr/photos/20221226/PYH2022010511280006400_P4.jpg)
(영동=연합뉴스) 5일 충북 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6분께 서울에서 동대구로 가던 KTX-산천 열차가 철로를 이탈했다.사고는 터널 내 철제구조물이 떨어지면서 열차를 추돌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은 사고 현장 모습.2022.1.5 [충북소방본부 제공.재배포 및 DB 금지] kw@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올해 1월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향하던 KTX-산천 열차가 탈선한 원인은 열차 바퀴의 '피로 파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로 파괴는 철재나 목재 등에 진동이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미세균열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파괴되는 현상을 뜻한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 1월 5월 오후 12시 46분쯤 충북 영동군 영동터널 진입 중 발생한 KTX-산천 궤도이탈 사고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당시 열차가 철로에서 이탈하면서 자갈이 튀어 올라 객실 유리창이 깨졌고, 짐칸에 있던 물건이 떨어지면서 승객 7명이 다쳤다.
조사 결과 사고는 열차 중간부(5∼6호차 사이) 차량의 오른쪽 바퀴가 파손되면서 발생했다.
이 상태에서 KTX가 운행되다 1km 정도 지난 지점에서 차축이 떨어져 나갔고 3km 지난 지점에서 제동장치 공기관이 파손돼 비상제동이 걸렸다.
파손된 바퀴는 사용 한도(마모한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였다.
마모에 따라 바퀴 지름이 850mm가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사고 당시 지름은 869mm였다.
그러나 바퀴의 단단한 정도를 뜻하는 경도와 잡아당기는 힘에 버티는 인장강도는 최소 허용치보다 낮은 상태였다.
기존의 초음파검사 방식으로는 바퀴의 내부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https://stock.mk.co.kr/photos/20221226/PYH2022010511320006400_P4.jpg)
(영동=연합뉴스) 5일 충북 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6분께 서울에서 동대구로 가던 KTX-산천 열차가 철로를 이탈했다.사고는 터널 내 철제구조물이 떨어지면서 열차를 추돌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은 깨진 KTX 열차 내부 모습.2022.1.5 [독자 제공.재배포 및 DB 금지] kw@yna.co.kr
사고조사위원회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KTX 바퀴의 발주, 제작, 검사, 유지관리 전 단계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라고 권고했다.
특히 바퀴의 내부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초음파검사 방식과 주기를 개선하라고 지적했다.
또 광명역에서 제어를 담당하는 권역(서울역 기점 33∼45㎞)에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열차가 흔들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를 검토하고 필요시 개선 조처를 하라고 권고했다.
국토교통부는 고속열차 바퀴에 대한 안전성과 품질 확보 여부를 점검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chopar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KB금융, 주가 끌어올린 ‘밸류업 날개’ 꺾이자 6% 하락
-
2
‘이재용 2심 무죄에’ 이복현 “국민께 사과…자본시장법 개정 필요성 더 확실”
-
3
엘케이켐 “코스닥 상장으로 종합 정밀화학 소재社 도약”
-
4
유럽서 비호감 된 머스크… 판매량 반토막에 테슬라 주가 하락
-
5
KT&G, 보통주 3,300,000주, 종류주 0 소각 결정
-
6
김경호 딜로이트 센터장 “미국이 비트코인 비축시, 전 세계 포모(FOMO) 부를 가능성”
-
7
D&O, 마곡 최대 공유오피스 ‘플래그원 마곡캠프’ 오픈
-
8
티에스아이, 24년 연결 영업이익 156.29억원
-
9
‘딥시크 쇼크’에 삼전·SK하이닉스 빚투한 개미…주가 회복에 2300억 탈출 기회 있었다
-
10
LG엔솔, 최대 1조6000억원 회사채 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