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전무패] 달러 강세, 코스피 숨고르기 들어가나?

입력 : 2023.02.21 11:58:05
달러 강세, 코스피 숨고르기 들어가나?





Q. 견조한 美 경제지표…연준 긴축 길어지나?



A. 1월 고용지표 호조, 취업자수 큰 폭 증가

A. 1월 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지수 상승률 예상 상회

A. 3월 FOMC 베이비스텝 가능성 이전에 비해 축소

A. 25bp씩 향후 3차례 인상 가능성에 무게 중심 이동

A. 최종 금리, 기존 5.25%에서 5.50%로 높아지는 양상

A. 3월 FOMC까지 고용지표와 소비자물가 결과 확인 필요





Q. 미국 PCE물가지수 주목…전망은?



A. 1월 PCE 물가 전월대비 확대 전망

A. 시장 예상치가 조금씩 상향

A. 물가 상승률 둔화가 멈출 수 있다는 우려

A. 핵심 PCE 전월 4.4%에 비해 소폭 둔화 전망

A. PCE 물가도 예상을 넘어설 경우 부담





Q. '킹달러' 귀환할까?



A. 달러화지수는 지난해 4분기부터 하락 전환

A. 2월초에는 101선 하회…10% 이상 하락

A. 원/달러 환율 지난해 1,440원 돌파

A. 역시 2월초 1,210원대 진입

A. 다시 킹달러로 귀환한 것으로 보기는 성급

A. 달러화 약세 근본 원인은 미국 물가 상승률 둔화

A. 연준 정책기조 변화로 달러화 약세

A. 달러 약세 기조 추가 진행에 무게





Q. 달러 강세로 국내 증시, 단기 조정 맞이할까?



A. 외국인 코스피 8조원, 코스닥 1조원 순매수

A. 어제는 코스피 시장 중심 순매도 반전

A. 1월 효과의 수급적 요인 둔화

A. 미국 물가 상승률 추세와 달러화 움직임 주목

A. 美 물가 상승률 둔화 유지시 외국인 순매수 이어질 것





Q. 중국 양회 정책 기대감, 긍정적 영향 줄까?



A. 중국 GDP 성장률 지난해 3.0%로 추정

A. 올해 중국 GDP 성장률 시장 전망치는 5.2%

A. 경제활동 재개와 함께 성장률 회복 기대 확산

A. 성장률 6%에 가까울수록 긍정적 영향 예상

A. 중국 경기 부양 정책 기대 너무 높이지는 말아야

A. 중국, 중속 성장으로 성장기조 연착륙 의도

A. 기본적으로 긍정적 요인이지만, 큰 기대는 말아야





Q. '기대 반 우려 반' 남은 2월 증시 투자 전략은?



A. 고용 호조, 예상보다 높은 물가 상승률로 상승 탄력 둔화





박석현 우리은행 투자상품전략부 부부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6 16: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