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2%대 찍었다…가계대출 급증 우려
김우연
입력 : 2024.06.24 17:19:51
입력 : 2024.06.24 17:19:51
【 앵커멘트 】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까지 떨어졌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시장금리 하락을 견인한 결과인데요.
신규 차주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가계대출이 또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우연 기자입니다.
【 기자 】
5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 하단이 2%대에 안착했습니다.
오늘(24일) 기준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2.99%~5.69%로 형성됐습니다.
특히 5년마다 금리를 재산정 하는 주기형 대출의 금리 하단은 2.93%를 기록했습니다.
주담대 금리가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처음입니다.
이는 주담대 고정형 금리의 준거가 되는 은행채 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금융채 AAA 5년물 금리는 지난 21일 기준 3.454%로 집계됐습니다.
불과 지난달 초 4%에 육박한 것과는 대비되는 상황.
인플레이션 지표 개선과 그로 인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에 선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문제는 주담대 금리가 떨어진 가운데 늘어나고 있는 가계대출에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주택거래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주담대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음달로 예고된 스트레스 DSR 2단계 역시 대출 수요를 앞당길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레스 DSR이란 향후 금리 변동성을 감안해 가산금리를 추가하는 제도입니다.
이 경우 원리금 상환액이 커지면서 대출한도는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문에 금리가 떨어지고 아직 제도는 강화되지 않은 현 시점에 대출 막차를 타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에만 약 4조 4천억이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가계대출증가가 지속된다면 향후 통화정책에도 영향이 갈 것이라 우려했습니다.
▶ 인터뷰(☎) : 이정희 /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우리 경제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부채 문제라든가 인플레이션 문제인데, 금리 인하가 혹시 이런 부채를 더 키우고 인플레이션 안정에 방해 요인이 되지 않을까 이런 부분들도 금융당국이 금융 정책을 펼치는 데 있어서 고려하고 있는 요인들에 들어갈 수 있다고 봅니다.
"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7.01 15:30
DSR | 4,030 | 20 | +0.5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1보]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2
“이번주 안에 통과된다”···상법 개정 기대감에 지주사株 신고가 행진
-
3
'NASA+' 실시간 우주 영상, 올여름부터 넷플릭스로 본다
-
4
실속형 소비의 확산, '소분 모임'이 이끈다
-
5
혼조세 보인 美증시...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또 급락[월가월부]
-
6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7
'머스크-트럼프 갈등' 심화에 테슬라 주가 5.3% 하락
-
8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9
"반구천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울산시, 프랑스에 사절단 파견
-
10
남북교류협력 위반신고센터 지원센터로 바뀔듯…"민간지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