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펀드에 1년새 '1조 뭉칫돈'
김태성 기자(kts@mk.co.kr)
입력 : 2024.09.04 18:07:56 I 수정 : 2024.09.04 19:16:31
입력 : 2024.09.04 18:07:56 I 수정 : 2024.09.04 19:16:31
모디정부 대규모 인프라 확충
세금 감면 등 외자유치 맞물려
올수익률 23%, 주요국 1위
급상승 따른 고PER은 부담
'모디 3기' 정부 출범을 모멘텀 삼아 우상향하고 있는 인도 경제에 주목한 투자자들이 인도 펀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관련 펀드 규모가 1년 만에 1조원 넘게 늘었다.
4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인도 증시 등에 투자하는 인도 펀드 31개의 설정액은 1조748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634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초 대비 늘어난 설정액이 9152억원으로, 올해 들어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펀드 중 가장 규모가 큰 TIGER 인도니프티50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은 지난 3일 기준 6606억원으로 올해에만 4479억원 늘었다. 실적도 뛰어나다. 인도 펀드의 연초 대비 수익률은 23.61%로 빅테크 중심의 북미 펀드(21.18%)뿐 아니라 신흥국 대표 주자인 베트남(16.46%), 올해 들어 버블 시기 증시 최고치를 경신한 일본(13.57%)을 제치고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올해 2분기 진행된 총선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잠시 혼조세를 보였던 인도 증시는 6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기 연임이 확정된 후 다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 3일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니프티50은 2만5279.85로 연초 대비 16.27% 올랐다.
인도 증시의 고공 행진과 관련 펀드로의 자금 유입은 제조업 육성을 내세운 모디 3기 정부 정책이 본격 가동되며 인도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3기 정부 출범에 맞춰 모디 정부는 2023년 2485달러였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030년까지 4418달러로 약 2배 늘린다는 세부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최근 확정한 2024~2025년 예산안에 무려 1338억6000만달러(약 179조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계획을 포함했다.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확충은 민간 투자 확대, 건설과 금융 분야의 높은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를 위해 인도 정부는 8대 인프라 산업을 지정해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8대 인프라 산업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정유제품, 비료, 철강, 시멘트, 전기를 말한다.
인도 정부의 외자 유치 정책도 경제 발전의 촉매로 작용했다. 투자 절차 간소화와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 정책을 펼친 덕택에 2023~2024년 인도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는 709억달러(약 95조원)에 달한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서 더욱 심해지는 미·중 무역 갈등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밸류체인에서 중국 비중을 줄이고 다변화 정책을 펼쳐왔는데, 영연방 국가에 속하고 중국과 적대국가인 인도는 새로운 제조국으로 밸류체인에 편입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들어 주식시장이 급성장한 데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도 존재한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인도 증시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22.1배로 미국(20.9배)과 일본(14.3배), 한국(9.2배) 등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다.
[김태성 기자]
세금 감면 등 외자유치 맞물려
올수익률 23%, 주요국 1위
급상승 따른 고PER은 부담
'모디 3기' 정부 출범을 모멘텀 삼아 우상향하고 있는 인도 경제에 주목한 투자자들이 인도 펀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관련 펀드 규모가 1년 만에 1조원 넘게 늘었다.
4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인도 증시 등에 투자하는 인도 펀드 31개의 설정액은 1조748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634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초 대비 늘어난 설정액이 9152억원으로, 올해 들어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펀드 중 가장 규모가 큰 TIGER 인도니프티50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은 지난 3일 기준 6606억원으로 올해에만 4479억원 늘었다. 실적도 뛰어나다. 인도 펀드의 연초 대비 수익률은 23.61%로 빅테크 중심의 북미 펀드(21.18%)뿐 아니라 신흥국 대표 주자인 베트남(16.46%), 올해 들어 버블 시기 증시 최고치를 경신한 일본(13.57%)을 제치고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올해 2분기 진행된 총선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잠시 혼조세를 보였던 인도 증시는 6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기 연임이 확정된 후 다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 3일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니프티50은 2만5279.85로 연초 대비 16.27% 올랐다.
인도 증시의 고공 행진과 관련 펀드로의 자금 유입은 제조업 육성을 내세운 모디 3기 정부 정책이 본격 가동되며 인도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3기 정부 출범에 맞춰 모디 정부는 2023년 2485달러였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030년까지 4418달러로 약 2배 늘린다는 세부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최근 확정한 2024~2025년 예산안에 무려 1338억6000만달러(약 179조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계획을 포함했다.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확충은 민간 투자 확대, 건설과 금융 분야의 높은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를 위해 인도 정부는 8대 인프라 산업을 지정해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8대 인프라 산업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정유제품, 비료, 철강, 시멘트, 전기를 말한다.
인도 정부의 외자 유치 정책도 경제 발전의 촉매로 작용했다. 투자 절차 간소화와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 정책을 펼친 덕택에 2023~2024년 인도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는 709억달러(약 95조원)에 달한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서 더욱 심해지는 미·중 무역 갈등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밸류체인에서 중국 비중을 줄이고 다변화 정책을 펼쳐왔는데, 영연방 국가에 속하고 중국과 적대국가인 인도는 새로운 제조국으로 밸류체인에 편입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들어 주식시장이 급성장한 데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도 존재한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인도 증시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22.1배로 미국(20.9배)과 일본(14.3배), 한국(9.2배) 등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다.
[김태성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
2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
3
상해종합지수(중국) : ▼8.83P(-0.27%), 3,232.11P [오후장출발]
-
4
항셍지수(홍콩) : ▲34.72P(+0.18%), 19,254.50P [오후장출발]
-
5
맥스트, 25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6
코스나인, 140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도 결정
-
7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8
국가·기관 가상자산 투자 계속 늘까…伊 최대 은행 인테사도 비트코인 100만유로 투자
-
9
이지스자산운용, ‘사랑의열매’와 청소년 교육 사업 후원 나서
-
10
“올해도 오피스, 호텔 거래 활발”…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