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타고 판교∼광화문 15분만에 슝…서울시 도심항공 실증
오세훈 '서울형 UAM 비전' 발표…2030년 상용화·2040년 입체교통망 완성 목표관광자원·의료인프라 연계…통행시간 단축·운송시장 확대 '7.4조 경제효과'
김기훈
입력 : 2024.11.11 06:00:02 I 수정 : 2024.11.11 13:43:58
입력 : 2024.11.11 06:00:02 I 수정 : 2024.11.11 13:43:58

(서울=연합뉴스) 11일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에서 열린 '도심항공교통(UAM) 비행 시연 행사'에서 볼로콥터가 시험 비행을 하고 있다.도심항공교통은 도심 내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 등을 이용해 승객 및 화물 운송 등을 목적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해 운용되는 새로운 항공교통체계이다.2021.11.11 [공항사진기자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내년부터 미래형 첨단 모빌리티가 서울 상공을 가로질러 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2030년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목표로 내년 상반기부터 여의도와 한강을 중심으로 UAM 본격 실증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열리는 'UAM·드론·AI 신기술 협력 콘퍼런스'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서울형 도심항공교통(S-UAM) 미래 비전'을 발표한다.

[서울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비전에는 서울 전역에 UAM 체계를 구축해 '3차원 입체 교통도시'로 도약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시는 풍부한 관광 자원, 세계적 의료 인프라, 헬기 운영 경험, 대중교통 연계성 등을 S-UAM의 강점으로 꼽았다.
사업 추진에 앞서 시는 UAM 운항을 위한 필수시설인 버티포트(정류장)를 단계적으로 확보하기로 했다.
우선 시범 및 초기 단계 운행을 위해 2030년까지 여의도·수서·잠실·김포공항 등 4곳에 주요 시설을 구축한다.
시는 개발 계획, 연계 교통 체계 등을 고려해 부지 약 500곳을 검토해 일차적으로 정거장 부지 30여곳을 선정했다.
버티포트에서는 UAM뿐만 아니라 버스·자율주행 셔틀·지하철·개인형 이동 수단까지 다양한 교통수단에 자유롭게 탑승·환승할 수 있다.
운행 노선은 실증∼초기∼성장∼성숙 4단계로 나뉜다.
실증 기간인 내년 상반기에는 킨텍스(고양)∼김포공항∼여의도공원, 잠실∼수서역 등 2개 구간을 대상으로 실증이 진행된다.
초기 상용화 단계(2026∼2030년)에는 여의도를 기점으로 UAM을 시범 운용한다.
김포공항∼여의도∼잠실∼수서 등 한강 전 구간을 순회한다.
또 김포공항 버티포트와 연계해 비즈니스·이동 수요뿐 아니라 관광·의료용 노선으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열린 '서울시-육군-고려대 UAM·AI·양자 신기술 협력 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2024.11.11 [서울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2030∼2035년은 한강과 4대 지천을 연결해 수도권을 잇는 광역 노선이 구축된다.
사업 성숙기에 접어드는 2035년 이후에는 주요 도심을 연계한 간선 체계 및 수요자 맞춤형 노선이 완성된다.
시 관계자는 "S-UAM 체계가 완성되면 지상과 지하에 그쳤던 기존 교통수단을 넘어선 3차원 입체교통 서비스가 실현된다"며 "도시 간 연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돼 공간적 한계를 뛰어넘는 '메가시티' 시대가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예컨대 대중교통이나 승용차로 약 1시간이 걸리는 판교∼광화문역 25㎞ 구간을 UAM으로는 약 15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잠실∼인천공항도 25분 만에 오갈 수 있게 된다.
UAM 등장으로 천문학적 규모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시에 따르면 수도권 내 통행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돼 연간 약 2조2천억원의 경제 효과가 예상된다.

[서울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또 수도권 운송시장 규모 확대로 연간 약 4조원, 서울 시내 버티포트 구축으로 약 1조2천억원의 경제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전성과 쾌적성을 보장하기 위해 운항 정보 및 안전 체계도 수립한다.
시는 2025년 실증 개시, 2040년 UAM 네트워크 완성을 목표로 민·관·학 산업 생태계도 구축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육군·고려대와 공동 개최했으며, 시는 S-UAM 도입 초기 단계부터 공역 관리, 비상 대응 체계 지원 등 안정적 운항을 위한 협력을 꾸준히 이어 나갈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서울 하늘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서울형 UAM 미래 비전'을 통해 도심 이동의 자유가 현실이 될 것"이라며 "경험과 기술력을 모아 안전하고 효율적인 미래 교통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kih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장사 접어요” 한 해 100만명 처음 넘었다…음식점 폐업률이 무려
-
2
삼성물산·현대건설, 자율주행 자재 운반 로봇 개발…현장 실증
-
3
美 엔비디아·MS, 시총 '4조 달러 시대' 누가 먼저 여나
-
4
日관세협상 각료, 美상무와 전화 협의…"양측 입장 확인"
-
5
로봇이 EV3 발레파킹을…현대차그룹 AI영상, 글로벌 온라인 확산
-
6
사모펀드 새 투자처로 떠오른 ‘클린테크’
-
7
시흥시 신천동 두문마을,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 선정
-
8
S&P500 상승 쳐다만보는 美 헬스케어…“중소형 제약주에서 기회를”
-
9
코인 채굴기업 비트마인···이더리움 업고 주가 폭등
-
10
담보 맡기고 비트코인 빌린다....업비트 ‘코인 빌리기 서비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