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 88% vs 서울 서초 25%…기초연금 수급률 지역별 최대 3.5 격차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
입력 : 2024.12.08 14:55:29
입력 : 2024.12.08 14:55:29
지난해 기초연금 수급률 67%
2년 연속 수급률 감소
2년 연속 수급률 감소

지난해 기초연금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은 67%로 수급률이 2년 연속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군구별로 수급률이 최대 3.5배 차이가 발생,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8일 보건복지부의 통계로 본 2023년 기초연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초연금 수급자 수는 650만8574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 971만1536명의 67.0%다.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수급자 수는 전년도(623만9000명)보다 27만명가량 늘어 역대 최다치를 기록한 반면, 수급률은 2021년 67.6%, 2022년 67.4%에서 2년 연속 줄었다.
기초연금은 전체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하는 것을 목표로 2014년 도입됐다. 선정기준액은 매년 정해진다.
하지마 공무원·사학·군인 등 특수직역 연금 수급자는 기초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된 데다가 소득·재산 노출을 꺼려 신청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고 거주불명자도 있어 수급률은 해마다 70%에 못 미친다.
작년 65세 인구의 70%가 약 680만명인 것으로 고려할 때 약 29만명의 노인이 소득 하위 70%에 해당함에도 기초연금을 안 받거나 못 받았다.
지역별 수급률 격차도 컸다. 대도시 지역의 경우 수급률이 대체로 60%대였지만, 농어촌 지역에선 80%를 웃도는 지역이 많았다.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해 기초연금 수급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고흥군으로 88.1%였고, 완도군(87.8%), 진도군(86.5%), 신안군(85.9%), 장흥군(85.2%) 등 전남의 군 지역들이 뒤를 이었다.
이와 비교해 서울 서초구(24.8%)와 강남구(25.6%), 경기 과천시(27.9%), 서울 송파구(36.8%), 서울 용산구(41.7%) 등은 수급률이 낮았다. 고흥군의 수급률이 서초구의 액 3.5배에 달하는 셈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 연급 개혁안을 통해 올해 월 33만4814원(단독가구 기준 최고 금액)인 기초연금을 2026년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 노인부터 40만원으로 인상한 후 2027년에는 전체 수급자에 인상을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머스크의 xAI, 채권발행·대출 포함 100억달러 자금 조달
-
2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
3
[뉴욕유가] 美 지표 호조 속 트럼프 "비축유 채우겠다"…WTI, 0.5%↑
-
4
[1보]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5
'NASA+' 실시간 우주 영상, 올여름부터 넷플릭스로 본다
-
6
“이번주 안에 통과된다”···상법 개정 기대감에 지주사株 신고가 행진
-
7
실속형 소비의 확산, '소분 모임'이 이끈다
-
8
혼조세 보인 美증시...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또 급락[월가월부]
-
9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10
'머스크-트럼프 갈등' 심화에 테슬라 주가 5.3%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