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기업도 이민 행렬 … 뉴욕증시 '노크'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입력 : 2024.12.16 17:35:34 I 수정 : 2024.12.16 19:45:33
입력 : 2024.12.16 17:35:34 I 수정 : 2024.12.16 19:45:33
시총 41조원 애시테드 포함
올해 88개社 런던증시 탈출
올해 런던 증시에서 88개 상장사가 영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에 가장 많은 이탈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통계를 인용해 "올해 런던 증시에서 상장폐지가 되거나 주력 증시를 다른 곳으로 옮긴 기업은 88개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반면 신규 상장은 18개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을 떠나는 대표 기업은 시가총액 230억파운드(약 41조7000억원)의 장비 대여기업 애시테드로, 이달 런던 증시에서 뉴욕 증시로 이전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애시테드가 뉴욕 증시로 떠나면 2020년 이래 런던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100지수 기업 중 해외 증시로 가기 위해 런던 증시를 떠나는 6번째 기업이 된다.
시총 390억파운드(약 70조7000억원)에 달하는 도박업체 플러터와 440억파운드(약 79조7000억원)인 건축 자재업체 CRH도 지난 1년 반 사이 뉴욕 증시로 떠났다.
기업들이 뉴욕으로 옮기는 이유는 다양한 투자자나 유동성 향상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는 게 FT의 분석이다. 에너지·광업 기업이 중심인 영국의 FTSE100지수는 올해 약 7.5% 상승했지만, 빅테크 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5%가량 올랐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런던증권거래소 대표를 지낸 제이비어 롤렛은 "런던증권거래소의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다"며 "런던의 부진한 거래로 많은 영국 기업이 해외에서 더 나은 이익을 얻기 위해 런던 상장을 포기하는 '실질적 위협'이 발생했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13일 골드만삭스는 "점점 많은 영국 기업이 미국으로 상장이전을 고려하고 있다"며 "영국과 미국의 평가가치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권오균 기자]
올해 88개社 런던증시 탈출
올해 런던 증시에서 88개 상장사가 영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에 가장 많은 이탈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통계를 인용해 "올해 런던 증시에서 상장폐지가 되거나 주력 증시를 다른 곳으로 옮긴 기업은 88개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반면 신규 상장은 18개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을 떠나는 대표 기업은 시가총액 230억파운드(약 41조7000억원)의 장비 대여기업 애시테드로, 이달 런던 증시에서 뉴욕 증시로 이전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애시테드가 뉴욕 증시로 떠나면 2020년 이래 런던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100지수 기업 중 해외 증시로 가기 위해 런던 증시를 떠나는 6번째 기업이 된다.
시총 390억파운드(약 70조7000억원)에 달하는 도박업체 플러터와 440억파운드(약 79조7000억원)인 건축 자재업체 CRH도 지난 1년 반 사이 뉴욕 증시로 떠났다.
기업들이 뉴욕으로 옮기는 이유는 다양한 투자자나 유동성 향상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는 게 FT의 분석이다. 에너지·광업 기업이 중심인 영국의 FTSE100지수는 올해 약 7.5% 상승했지만, 빅테크 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5%가량 올랐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런던증권거래소 대표를 지낸 제이비어 롤렛은 "런던증권거래소의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다"며 "런던의 부진한 거래로 많은 영국 기업이 해외에서 더 나은 이익을 얻기 위해 런던 상장을 포기하는 '실질적 위협'이 발생했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13일 골드만삭스는 "점점 많은 영국 기업이 미국으로 상장이전을 고려하고 있다"며 "영국과 미국의 평가가치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권오균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유럽 '끝 안보이는' 여름…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
-
2
검찰, 520억원대 회삿돈 유용 메디콕스 경영진 구속기소
-
3
아세안 외교장관들, 트럼프 상호관세 통보에 "우려" 표명할 듯
-
4
한화오션, 미 해군 함정 정비사업 3번째 수주했다
-
5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개인회생 낙인' 지워준다
-
6
“전세사기 피해자 더는 못 버텨”...비장의 무기 ‘배드뱅크’ 들고나온 정부
-
7
소비쿠폰 시스템 짜는 데만 550억?...숨은 행정비용에 예산낭비 논란
-
8
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95.7GW…역대 7월 최고치 또 경신
-
9
'6·27 규제' 피한 오티에르 포레, 1순위 평균 경쟁률 688대 1
-
10
치킨집·주점, 절반이 3년 안에 사라진다…월평균 얼마나 벌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