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에 투자하시겠습니까”...30억 이상 초고액 자산가들에게 물어보니
방영덕 매경닷컴 기자(byd@mk.co.kr)
입력 : 2025.01.02 10:14:30
입력 : 2025.01.02 10:14:30

국내 고액자산가들은 2025년 을사년 금융시장을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금융 환경’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준비해야 하는 금융 환경’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삼성증권이 자산 30억원 이상 SNI 고객 3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산가들은 올해 금융시장을 잘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오리무중(五里霧中·갈피를 잡을 수 없음)’과 ‘교토삼굴(狡兎三窟·교활한 토끼는 3개의 굴을 파놓는다는 뜻으로, 다양한 대안을 준비해 위기에 대응함)’을 꼽았다.
SNI는 예탁 금융자산 30억원 이상인 초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한 삼성증권의 자산서비스 브랜드다.
이외에도 ‘전전긍긍(두려움이나 걱정으로 마음이 편치 않은 상태)’, ‘고진감래(일시적인 어려움을 견디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 등 대부분의 응답자가 녹록지 않은 2025년 새해 금융시장을 전망했다.
고액 자산가들의 내년 주식 시장 기대감은 작년에 비해 소폭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작년에는 ‘거안사위’, ‘다다익선’, ‘상전벽해’ 등을 선택해 긍정적인 시장을 전망한 응답자가 77%에 달했으나, 올해에는 그 비율이 50% 수준에 그쳤다.
새해 코스피의 올 연말 지수 상승률을 물어보는 질문에도 작년에는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 응답자가 약 80%에 육박했으나, 올해에는 51% 수준에 그쳤다. 응답자들이 선택한 2025년 코스피지수의 평균 등락률은 약 +5.2%로 나왔다.
이와 관련 신승진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한국 시장의 상대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매력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국내외 불확실성 지속으로 투심이 쉽게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지수에 대해선 응답자들은 각각 +11.3%, +11.7%의 상승을 기대했다.
미국을 대표하는 두 지수 모두 응답자의 80% 이상이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 중 30% 이상 초과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는 응답자 비중도 3.5%로 집계됐다.
다만 미국 주식 투자가 어려운 점으로는 환율을 꼽았다. 응답자의 41.0%는 원/달러 환율 불확실성이 커 미국 주식 투자가 어렵다고 답했다.
새해 들어 주식형 자산의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응답자의 비율은 44.9%로 작년(62.5%)보다 크게 하락했으며, 투자를 희망하는 국가로는 미국(47.8%)이 우리나라(40.6%)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투자 유망 업종은 인공지능(AI)·반도체가 38.2%로 작년(50.6%)에 이어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은 22.5%를 기록해 작년(1.7%) 대비 크게 상승했다.
국내 주식 시장의 반등 시기와 최적의 매수 타이밍을 물어보는 질문에는 2025년 2분기와 3분기라는 의견이 38.5%, 30.4%씩을 차지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3
“신한지주, 하반기 주주환원 확대 여력 충분”…목표가↑
-
4
美정부, 중국 포함 우려국 출신자의 미국내 농지 소유 차단 추진
-
5
[대전 조례 톺아보기] '양자산업 육성·지원 조례'
-
6
독점 갇힌 재보험·땅짚고 헤엄친 코리안리…경종 울린 대법
-
7
'위기'의 보잉, 정상화 궤도?…18개월 만에 항공기 인도량 최대
-
8
목표전환 공모펀드 돌풍…'6∼7% 이익 후 보존' 투자보수층 공략
-
9
현대차그룹, 상반기 美전기차 시장점유율 2→3위…3년 만에 하락
-
10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