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가계대출 열달만에 뒷걸음…상여·부동산위축 영향
1월 24일까지 1조7천694억↓…주담대 1조6천592억↑·신용대출 3조↓은행권 "가계대출 감소에 실적 차질 등 우려…금리인하 등 가능성"
신호경
입력 : 2025.02.02 06:03:01
입력 : 2025.02.02 06:03:01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지난달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처음 뒷걸음쳤다.
연말·연초 상여금 등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신용대출 상환 여력이 커진 데다 계엄·탄핵 정국 속에 부동산 매수 심리도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은행들로서는 이자 이익의 원천인 대출 자산의 축소를 방관하기 어려운 만큼, 2월부터 더 적극적으로 금리 인하와 가계대출 규제 추가 완화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
◇ 작년 3월 이후 첫 가계대출 감소 확실시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3천65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12월 말(734조1천350억원)과 비교해 1조7천694억원 줄었다.
연휴 기간에 주택 거래가 거의 없었던 만큼, 월말까지 7일간의 통계가 추가되더라도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반전되기 어렵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휴 효과가 없었더라도, 최근 부진한 주택거래와 작년 12월에 이은 신용대출 감소세를 고려할 때 1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작년 12월보다 줄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1월 감소가 확정되면 지난해 3월(-2조2천238억원) 이후 10개월 만의 첫 축소 기록이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6천592억원(578조4천635억원→580조1천227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3조54억원(103조6천32억원→100조5천978억원)이나 감소했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추이(단위: 백만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 ||||
2024년 10월말 | 11월 말 | 12월 말 | 2025년 1월 24일 | |
가계대출 잔액 | 7,320,812 | 7,333,387 | 7,341,350 | 7,323,656 |
전월비 증감 | 11,141 | 12,575 | 7,963 | -17,694 |
주담대 잔액 | 5,756,687 | 5,769,937 | 5,784,635 | 5,801,227 |
전월비 증감 | 10,923 | 13,250 | 14,698 | 16,592 |
신용대출 잔액 | 1,038,451 | 1,040,893 | 1,036,032 | 1,005,978 |
전월비 증감 | 3,880 | 2,442 | -4,861 | -30,054 |
대출자들이 연말·연초 받은 상여금 등으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을 포함한 신용대출부터 갚았다는 뜻이다.
또 하나의 주요 배경은 부동산 경기 위축이다.
주택담보대출이 시중은행 가계대출의 핵심인데,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월 증가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 10월 1조923억원 ▲ 11월 1조3천250억원 ▲ 12월 1조4천698억원 ▲ 2025년 1월(∼24일) 1조6천592억원 등으로 수개월째 1조원대에서 정체된 상태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올림픽파크포레온(둔춘주공아파트 재건축) 아파트 단지 잔금대출이 지금까지 5대 은행에서 약 8천억원 규모로 이뤄진 점을 고려하면 신규 주택담보대출 부진 현상은 더 두드러진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보합(0.00%)을 유지했다.
지난해 12월 다섯째 주부터 4주째 보합세다.
경기·인천 지역의 하락으로 전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떨어졌다.
이에 따라 향후 은행권의 금리 인하 등 '가계대출 문턱 낮추기' 경쟁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치 불안 등으로 경기 우려가 커지면서 아파트 등 주택 매수 심리 위축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 은행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대출 금리 인하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도 "작년처럼 가계대출이 부동산 가격 급등을 주도할 만큼 늘어나지 않도록 올해도 수요를 관리해야겠지만, 가계대출이 계속 줄어드는 것은 은행 실적 차원에서 그냥 둘 수 없는 현상"이라며 "연초 생활자금용 주담대 한도 폐지를 비롯해 일부 가계대출 규제를 은행들이 풀었지만, 감소세가 이어지면 추가 완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hk999@yna.co.kr, hanjh@yna.co.kr, s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작년 GDP 일·대만 가뿐히 제쳤다...“계엄만 아니었더라면”
-
2
LG전자, 이동성·사용성 강화 '스탠바이미 2' 국내 출시
-
3
美언론들, 트럼프 관세에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
-
4
[속보] 트뤼도, 트럼프 관세에 "준비돼 있다…멕시코 대통령 통화할것"
-
5
내일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합동감식…원인 밝혀지나
-
6
캐나다 총리, 트럼프 관세에 "준비돼 있다"…멕시코와 대응 조율
-
7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8
정유업계, 작년 휘발유·경유 수출량 사상 최대 기록
-
9
“전세계 시장규모 50조원”...‘니모를 찾아서’ 백작흰동가리 기술혁신 나선 K관상어산업
-
10
FIU, 5일 업비트 특금법 위반 2차 제재심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