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노벨상 '반짝' 효과?…출판업 생산 한 달 만에 마이너스

10월 서적출판업 2.8%↑, 11월 11.1%↓…"중장기적으로 호재 부각될 것"
민경락

입력 : 2025.02.02 06:35:00


서점 베스트셀러 10위권 내 6권이 한강 작품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2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 베스트셀러 진열대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의 작품들이 진열되어 있다.지난 20일 교보문고가 발표한 12월 둘째 주 베스트셀러 순위를 보면 10위 안에 한강의 작품이 6개나 들었다.소설 '소년이 온다'가 7주 연속 1위를 수성했고, '채식주의자'와 '작별하지 않는다'가 그 뒤를 따랐다.이어 '작별하지 않는다', '흰', '검은 사슴' 3권을 모은 '한강 스페셜 에디션'이 5위, '흰'이 6위,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두었다'가 7위를 차지했다.2024.12.22 ondol@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효과로 서적출판업 생산이 반짝 증가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소비심리 위축 등 영향을 받고 있지만 노벨상 수상 효과는 중장기적인 호재로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기대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지난해 10월 서적 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2.8% 증가했다.

서적 출판업 생산은 작년 2월(-4.9%) 이후 9월까지 마이너스 행진을 하다가 9개월 만에 플러스로 반전했다.

작년 10월 10일 노벨문학상 수상 발표 직후 도서 구매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BC카드에 따르면 작년 10월 온라인 서점 매출은 1년 전보다 18.0% 늘면서 온라인 쇼핑 매출을 견인했다.

같은 달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1.7% 증가하면서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반전했다.

하지만 11월 관련 지표가 일제히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분위기는 한 달 만에 반전됐다.

11월 서적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1.1% 줄었다.

2023년 1월(-11.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다.

같은 달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6.1% 줄며 2021년 8월(-6.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에 관한 세계 독자들의 관심을 키웠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적 효과는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는 것이 출판업계의 평가다.

다만, 한강 효과로 책 구매 시기가 당겨지면서 11월 판매가 일시적으로 급감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한강 노벨상 수상에 따른 판매량 증대 효과가 주로 한강이 쓴 책이나 소설 분야에만 집중된 데다 내수 부진, 12월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악재까지 겹쳐 긍정적 효과가 제약받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출판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강 노벨상 수상은 한국 문학이 낯선 해외 시장에 한국 문학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라며 "다만 국내에선 주로 한강 소설을 중심으로 도서 소비가 늘었고 12월 국내 정치적 악재까지 겹치면서 체감 효과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roc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2 10:4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