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대통령, 美에 즉각 보복관세…펜타닐 지목엔 "중상모략"
셰인바움 "멕시코 이익 보호하겠다"…'관세는 해결책 아냐' 협상 여지
김연숙
입력 : 2025.02.02 11:14:42
입력 : 2025.02.02 11:14:42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이유로 멕시코, 캐나다 국경의 펜타닐 유입을 지목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멕시코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중량모략'이라 부르며, 이러한 주장도 멕시코 영토에 개입하려는 의도도 단호히 거부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 동맹이 있다면 바로 이런 범죄 조직에 고성능 무기를 판매하는 미국의 총기 상점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정부가 펜타닐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거리 판매 금지, 불법 자금 세탁 방지, 멕시코와 같은 대규모 예방 캠페인 등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펜타닐 등 합성 오피오이드는 무차별적인 처방에서 비롯됐다고 반박했다.
또 멕시코 정부는 넉 달 만에 2천만회분의 펜타닐을 포함해 40t이 넘는 마약을 압수하고, 관련 인물 1만여명을 체포했다고 강조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와 함께 관세 부과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대화를 제안했다.
그는 멕시코는 대립은 원치 않는다며, 미국이 불법 마약 거래를 막고 싶다면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공중보건 및 보안팀의 실무그룹 구성을 제안했다.
다만 이는 공동 책임, 상호 신뢰, 협력, 주권에 대한 존중에 기반해야 한다며 조정은 가능하지만 종속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앞서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과 조치에 관한 질문을 받고 "우리가 이길 것"이라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noma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하루 아침에 230조원 증발했다”...트럼프發 관세 쇼크, 코인시장 덮쳐 [매일코인]
-
2
印, 17조원 규모 감세안 발표…"중산층 세금 줄여 소비 늘린다"
-
3
김영록 전남지사 "무안국제공항, 10월까지 문 열 수 없을 듯"
-
4
총성 없는 관세전쟁 포문…트럼프 선공에 캐·멕·中 보복선언
-
5
KGM, 자동차부품 위탁업체에 부실 계약서 발급으로 시정명령
-
6
한국증권금융, 대규모 인사·조직개편 “부서장 75% 교체”
-
7
이번주 구글·아마존 등 美빅테크 실적 주목
-
8
“내 통장에 비상금이 90초면 ‘뚝딱’”…애매한 대출광고 ‘확’ 바뀐다
-
9
오세훈 "AI 인재 1만명 양성하겠다…3대 강국, 우리도 가능"
-
10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하는 배터리 전극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