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값 올라도 괜찮아” 쉐이크쉑, 주가 11% 상승
정재원 기자(jeong.jaewon@mk.co.kr)
입력 : 2025.02.21 15:54:56 I 수정 : 2025.02.21 16:37:37
입력 : 2025.02.21 15:54:56 I 수정 : 2025.02.21 16:37:37
조류독감 퍼지며 美 계란값 폭등했지만
쉐이크쉑 CEO “아침 메뉴 주력 안 해 괜찮아”
실적 개선에 주가는 하루 만에 11% ‘쑥’
쉐이크쉑 CEO “아침 메뉴 주력 안 해 괜찮아”
실적 개선에 주가는 하루 만에 11% ‘쑥’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쉐이크쉑 주가는 전일보다 11.1% 오른 123.61달러에 마감했다.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주가 상승이다.
롭 린치 CEO는 이날 “달걀값 폭등에 많은 경쟁사들이 달걀 메뉴를 소고기 등으로 대체할 것”이라며 “우리의 아침 메뉴 사업은 비교적 작으므로, 달걀값 폭등으로 인한 피해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달걀 가격은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인해 빠르게 상승했다.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달걀 12개입이 평균 7.08달러(약 1만원)에 팔리는 등, 2년 전보다 7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에 맥도날드 등 아침 메뉴로 달걀을 제공하는 기업들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침 메뉴에 주력하지 않는 쉐이크쉑은 경쟁사 대비 달걀값 폭등으로 인한 피해가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롭 린치 CEO는 “쉐이크쉑의 프리미엄 라인이 고소득 고객을 끌어들인다”며 “기간 한정 트러플 버거가 매우 좋은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쉐이크쉑의 호실적도 주가 상승의 기폭제가 됐다.
지난해 4분기 쉐이크쉑의 매출은 1년 전보다 14.8% 증가한 3억2870만달러(약 4713억원)으로 집계됐다. LA산불과 미국 일부 지역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판매량도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쉐이크쉑의 주당순이익(EPS)은 26센트로, 1년 전의 2센트보다 13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울 아이 안 먹일수는 없고”…고물가·고금리에 30%나 수입 급증한 ‘이것’
-
2
강원 동해안 사계절 해양레저 관광지로 육성한다…전략 발표
-
3
안전 소홀로 6명 사망…부산 복합리조트 사업 어떻게 되나
-
4
부산공동어시장 이끌 적임자 누구…선출 절차 본격화
-
5
[다음주 경제] 한은 기준금리 결정…성장률 얼마나 낮출까
-
6
전남농협, 제주서 직거래 장터 연다…최대 20% 할인
-
7
[IPO챗] 내주 위너스·엘케이켐 코스닥 입성
-
8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 많아(종합)
-
9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10
[영상] "가장 위험한 소행성"…지구 충돌 확률 한때 역대 최고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