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69%·S&P500 -1.71%·나스닥 -2.20%…비관적 경제지표 '매도세' 자극2월 PMI 49.7로, 25개월만에 처음 위축…"관세 영향 따른 물가 상승 대비"
이재림
입력 : 2025.02.22 06:54:56
다우 -1.69%·S&P500 -1.71%·나스닥 -2.20%…비관적 경제지표 '매도세' 자극2월 PMI 49.7로, 25개월만에 처음 위축…"관세 영향 따른 물가 상승 대비"
뉴욕증권거래소 앞 월스트리트 거리 표지판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지수가 21일(현지시간)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고착화에 대한 투자자 우려 속에 동반 하락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63포인트(-1.69%) 내린 43,428.02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낙폭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4.39포인트(-1.71%) 내린 6,013.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38.36포인트(-2.20%) 하락한 19,524.01에 장을 마감했다.
AP통신과 CNBC 등 미국 주요 언론매체는 이날 나온 일련의 비관적 지표가 경제 전망에 대한 새로운 공포감을 불러오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고 짚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7로, 2023년 1월 이후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움츠러들었다.
S&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의 크리스 윌리엄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지출 삭감부터 관세 부과, 지정학적 상황에 이르기까지 미국 연방정부 정책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걱정하고 있다"며 "정치 환경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판매가 타격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시간대학에서 내놓은 2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 대비 10% 가까이 낮아진 64.7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잠재적 관세 영향에 따른 물가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는 뜻인데, 12개월 후 물가는 현재의 4.3%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고 미시간대학 측은 해설했다.
이는 지난달 예상치 3.3%보다 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미국 최대 소매기업 월마트의 부진한 실적 전망에 따른 주가 하락세는 이날(-2.5%)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