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위메이드 전 부회장, 골프모임에서 미공개 정보 유출 혐의 논란[엠블록레터]
전성아 엠블록컴퍼니 기자(jeon.seonga@m-block.io)
입력 : 2025.02.24 14:37:18
입력 : 2025.02.24 14:37:18

[엠블록레터] 안녕하세요 엠블록레터의 AI 인턴입니다. 금융당국이 장현국 전 위메이드 부회장이 무상증자 계획을 미리 유출한 혐의로 검찰에 통보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증선위 회의에서 이와 관련된 조치안을 논의했습니다. 장 전 부회장은 2021년 8월, 무상증자 결정 정보를 대학 동기 골프모임에서 지인 A씨에게 전달하고, A씨는 이 정보를 이용해 16만 8천주의 위메이드 주식을 매입한 후 대부분을 매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장 전 부회장과 A씨는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A씨는 자신이 이미 주식을 매입한 상태였으며, 8월 26일 게임 출시를 앞두고 추가로 매수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투자 결정의 이유로 당시 출시 예정이었던 MMORPG ‘미르4’의 성공 가능성을 들었습니다. A씨는 여러 계좌를 관리하고 있었으며, 이는 선후배와 친구의 계좌도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금융당국은 A씨가 당일 위메이드 거래 비중의 7%에 달할 정도로 개인규모로 상당해 한국거래소의 통보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은 A씨가 장 전 부회장에게 골프 회비와 상금 명목으로 2900만원을 이체한 사실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증선위는 이러한 매매패턴과 정보의 전달경로가 불투명하다고 판단하여 검찰에 수사를 요청했습니다.
한편, 장 전 부회장은 이미 가상자산 ‘위믹스(WEMIX)’의 유통량을 허위로 공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상태이며, 위메이드에서 사임한 후 다른 게임사의 CEO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이 사건의 처리는 금융당국이 검찰에 수사를 촉구하는 절차에 따라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상 AI 인턴이었습니다.
Written by ChatGPT


업비트와 빗썸, 자금세탁방지(AML) 강화를 위해 100만 원 미만 가상자산 출금 제한 조치 시행
- 업비트는 13일부터 트래블룰 솔루션을 통해 확인되지 않은 출금 주소 차단, 빗썸은 4월 1일부터 출금 지갑 주소 사전 등록제 도입 예정
- 자금세탁범죄 방지 및 가상자산 거래소 신뢰도 향상 목적, 코인원·코빗도 유사한 조치 검토 중
- 규제 강화로 탈중앙화 거래소(DEX) 이용 증가 가능성 제기, 향후 규제 적용 대상 확대 전망
- 업계 관계자, “AML 강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 안전한 거래 환경 대비 필요” 강조
국회서 금융위 질타…업비트 제재심·독과점 논의 지연 도마 위
- 국회, 금융위의 업비트 제재심 지연 및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 수리 지연에 대한 문제 제기
- 김병환 금융위원장, 업비트 제재심 조속한 마무리 및 갱신신고 차질 없도록 일정 관리 약속
- 업비트의 고객확인제도(KYC) 위반 사례 70만 건 적발되며 금융정보분석원(FIU) 제재 논의 중
- 특정 거래소의 독과점 문제 해결 필요성 제기되었으나, 가상자산위원회 논의 의제에서 제외됨
- 금융위, 독과점 문제 해결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협의 예정, 거래소 영업행위 규제 방안 검토
세계 최대 블록체인 행사, 미국서 홍콩으로…‘디지털자산 허브’ 주력
- 세계 최대 블록체인 행사 ‘컨센서스’, 올해 홍콩에서 개최하며 아시아 디지털자산 허브로 도약 시도
- 홍콩 재무부 장관 및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해 홍콩의 가상자산 정책과 규제 방향 발표 예정
- 비트코인 강세론자 아담 백·샘슨 모우, 솔라나 재단·수이 창업자·바이낸스 CEO 등 주요 업계 인사 연사로 참여
- 홍콩, 싱가포르보다 늦게 가상자산 시장을 개방했지만 명확한 규제와 경제적 개방성을 바탕으로 경쟁력 강화 기대
- 가상자산을 ‘상품’으로 간주하는 홍콩의 접근 방식이 시장 변화에 적합하다는 평가
미래에셋 ‘AI·비트코인’ ETF 출격… 박현주 승부수 통할까
- 미래에셋그룹 박현주 회장, 글로벌 ETF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및 비트코인 접목 추진
- 미국 시장에서 AI 기반 상품 출시 예정, 비트코인 커버드콜 형태의 ETF 개발 검토 중
- 글로벌 ETF 시장 성장 지속, 미래에셋은 전 세계 13개 지역에서 632종의 ETF 운용 중
- 2011년 캐나다 ‘호라이즌’ 인수를 시작으로 글로벌X(미국·호주) 등 ETF 사업 확장
- AI 기술을 ETF 개발에 접목해 차별화된 혁신 상품 공급 계획
코인원, 한숨돌린 법인계좌 문제 ‘시스템 개발 속도’ 중요
- 금융당국, 연내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하며 코인원-카카오뱅크 법인계좌 발급 협의 진행
- 기존에 법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던 카카오뱅크, 코인원 고객사 대상으로 제한적 법인계좌 개설 고려
- 상반기에는 법집행기관·학교법인·가상자산거래소 등의 코인 매도를 허용하고, 하반기부터 일반법인도 거래 가능
- 은행의 자금세탁방지 강화, 수탁사 활용 권고, 투자자 공시 확대 등을 포함한 법인 가상자산 투자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 코인원과 카카오뱅크,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내 법인계좌 시스템 개발 및 가상자산 커스터디 파트너십 구축 필요
전성아 엠블록 연구원(jeon.seonga@m-block.io), 김용영 엠블록 에디터(yykim@m-block.io)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