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대비 거래량 급증 종목(코스닥)
순위 | 종목명 | 급증률 | 전일 | 당일 | 현재가 | 등락률 |
---|---|---|---|---|---|---|
1 | 바이오인프라(199730) | 16,316.07% | 12,424 | 2,039,533 | 6,740 | +29.87% |
2 | 제이투케이바이오(420570) | 3,366.39% | 67,171 | 2,328,409 | 13,170 | +2.17% |
3 | 딥마인드(223310) | 3,115.47% | 30,382 | 976,924 | 2,895 | +29.82% |
4 | 포바이포(389140) | 2,890.93% | 354,332 | 10,597,821 | 8,300 | +20.64% |
5 | 케이엔에스(432470) | 2,685.94% | 53,050 | 1,477,942 | 13,070 | +4.56% |
6 | 모아라이프플러스(142760) | 2,415.34% | 65,189 | 1,639,728 | 1,373 | +7.94% |
7 | 성우(458650) | 2,312.30% | 234,679 | 5,661,154 | 21,350 | +14.35% |
8 | 캡스톤파트너스(452300) | 2,080.37% | 134,776 | 2,938,622 | 2,765 | -2.64% |
9 | 가비아(079940) | 2,063.29% | 20,286 | 438,846 | 17,250 | +13.26% |
10 | 팸텍(271830) | 2,036.93% | 90,470 | 1,933,279 | 1,668 | +2.33% |
11 | TS인베스트먼트(246690) | 1,617.37% | 436,108 | 7,489,582 | 1,222 | +3.47% |
12 | 나라엠앤디(051490) | 1,580.19% | 40,073 | 673,302 | 4,315 | +6.28% |
13 | 캐리소프트(317530) | 1,497.11% | 76,344 | 1,219,301 | 6,170 | -14.78% |
14 | 램테크놀러지(171010) | 1,472.95% | 150,232 | 2,363,076 | 4,390 | +0.34% |
15 | 나인테크(267320) | 1,313.74% | 1,904,651 | 26,926,737 | 3,715 | +14.84% |
16 | 에스엠코어(007820) | 1,240.50% | 158,858 | 2,129,499 | 4,400 | -0.34% |
17 | 효성오앤비(097870) | 1,118.79% | 38,280 | 466,553 | 6,510 | +1.72% |
18 | 실리콘투(257720) | 1,044.03% | 569,278 | 6,512,688 | 28,650 | +7.50% |
19 | 아티스트유나이티드(321820) | 1,040.94% | 36,384 | 415,118 | 10,530 | +2.43% |
20 | 제이오(418550) | 1,017.66% | 216,004 | 2,414,192 | 12,130 | +9.08% |
* 본 거래량 급증 종목은 전일대비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한 종목 중에서 관리종목을 제외하고 장마감 기준 거래량 10만주 이상, 1,000원 이상 종목만을 선정한 것입니다.
기사 관련 종목
바이오인프라 | 5,660 | 20 | -0.35%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김해공항 국제선 첫 1천만명 달성하나…1분기 252만명, 15%↑
-
2
아마존이 선택한 전기차 '슬레이트'…K-배터리 협업 기대감 고조
-
3
"디자인만 우리가" 애플의 유구한 전략, 트럼프가 바꿔 놓을까
-
4
'고래' 美中 관세전쟁에 '새우' 韓 등 터지나…기회로 바꿀 전략 필요(종합)
-
5
'생림에서 노랑'…레일바이크와 함께하는 유채꽃축제 19일 개막
-
6
'부산형 라이즈', 해양·반도체·영화 등 대학 특성화 집중 지원
-
7
무디스 "尹 파면에도 韓 경제·정치 불확실성 지속될 듯"
-
8
'청년 전세대출' 허점 악용해 21억 가로챈 일당 무더기 징역형
-
9
“22개월째 마이너스”...역대 최장기 불황에 빠진 숙박·음식점
-
10
일주일 간격 산청·하동 산불로 산림 소실…커지는 산사태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