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전무패] 정부, 두 달 연속 ‘경기 둔화’ 진단

입력 : 2023.03.20 15:45:27



정부, 두 달 연속 ‘경기 둔화’ 진단



Q. 정부, 두 달 연속 ‘경기 둔화’ 진단…전망은?



A. 국내소비와 수출수요 일단 둔화할 것으로 예상

A. 수출증가율도 크게 둔화 예상

A. IMF 1월 전망: 2023 세계 성장 2.9%, 2024 3.1%

A. IMF 세계 수출 예상 2022 5.4%, 2023 2.4%

A. OECD 한국 성장률 1.6%, 세계성장률 2.6% (2023)

A. 중국 셧다운 철회되었으나 대중국 수출 예상보다 적음

A. 작년과 비교할 때 수출 떨어질 수밖에 없음

A. 한국 2023 성장률: 1.6% 내외로 수렴

A. 한국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





Q.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 224% 증가, 수혜 기대는?



A. 250% 증가한다고 해도 2019년보다 크게 미달

A. 지역별로는 관광 수혜 기대 가능

A. 국내경제 큰 동력이 되지는 않을 것





Q. SVB에 이어 CS까지 금융시장 전망은?



A. 1주일간 은행 인출사태 일어날지에 따라 다를 것

A. 미국, 국채 및 최상급 채권을 담보로 대출 가능

A. 급한 문제는 일단 해소될 것으로 예상

A. First Republican Bank로 다시 불안정성 증가

A. CS는 이전부터 주요 세계 투자은행 중 가장 취약한 은행

A. "UBS, 크레디트스위스 20억달러 이상에 인수 합의"





Q. FOMC 연준의 선택은?



A. 미국 12개월 기준 인플레이션 낮아져

A. 25bp 증가의 가능성 가장 높음

A. 최종금리 5.75% 전망

A. 하반기에 50bp 추가 인상할 가능성 큼





Q. 일본 수출 규제 해제 및 K칩스법, 반도체 회복?



A. 국제적 반도체 수요 없고 재고가 사상 최고수준

A. 수요 늘어 재고가 소진되어야 다시 공급증가 가능

A. 금리 계속 증가하는 한, IT 산업 하반기 투자 어려울 것





Q. 자국 보호주의 기조, 한국수출 대처 방안은?



A. 미국내 반도체, EV 등 공장 건설 완료까지 수년 소요

A. 미국내 시설 완료될 때까지 무역장벽 강화 어려울 것

A. 작년 미국 무역적자 사상 최대 9,481억 달러

A.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3,829억 달러

A. 한국은 한미FTA 활용해야





양준석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5.12 15:30
CS 1,755 63 +3.72%
레이 8,610 330 -3.69%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2 19:3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