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총리 "美관세 부과될듯…반사적이지 않은 침착한 대응"

트럼프 관세 앞두고 "협상 빠른 결론 희망…모든 옵션 테이블에"
김지연

입력 : 2025.04.02 00:23:37 I 수정 : 2025.04.02 17:06:21


스타머 총리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1일(현지시간) 미국이 이튿날 발표할 상호 관세의 타격을 영국도 받을 것이라면서도 즉각 대응하진 않겠다고 밝혔다.

스타머 총리는 이날 스카이뉴스와 인터뷰에서 "우린 경제 합의에 빠르게 진전을 이뤘고 열심히 작업 중이며 아주 빠르게 결론 내기를 바란다"면서도 "(영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국익에 따라 행동해야 하며 이는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즉각적인 보복 관세를 부과하느냐는 질문엔 "가장 타격받는 부문과 협력하고 있는데 그들이 가장 원하는 건 침착하고 차분한 대응이지 반사적인 대응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영국은 그동안 미국과 별도로 무역 협상을 벌여 왔다.

스타머 총리는 지난달 30일 밤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해 생산적 협상을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말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관세를 없앨 수 있는 무역 협상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 등 긍정적으로 언급한 것과 관련해 미국에 속은 것이 아니냐는 말에는 "미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미국이 앞서 발표한 수입 자동차 25% 관세 부과는 영국 자동차 산업에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영국산 자동차의 17%인 10만1천대, 76억파운드(14조5천억원) 상당이 미국으로 수출됐다.

미국은 2일 영국산 제품 전반에 최소 2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영국산 제품에는 20%의 부가가치세(VAT)가 붙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부가가치세가 관세이자 미국에 대한 차별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영국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영국의 예산책임청(OBR)은 미국의 20% 추가 관세 부과와 영국의 대응으로 무역 전쟁이 벌어지면 영국 국내총생산(GDP)이 1% 깎일 수 있다면서 이 경우 재무부가 전망하는 100억 파운드(약 19조원)의 공공 재정 여유분이 모두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산업통상장관은 이날 B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초기 발표에서 면제받을 나라는 없을 수도 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를 예상하면서 이를 뒤집기 위한 무역 협상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보복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예상 일정을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에게 잠재적 해결책이 없어진다면 우리의 입장을 더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이 미국과 협상을 위해 미국 빅테크에 주로 적용되는 디지털 서비스 세금을 삭감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꾸준히 나온다.

2020년 도입된 이 세금은 인터넷 기업에 영국 사용자를 상대로 올린 매출액의 2%를 부과하는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부당한 조세로 꼽는 세금이다.

레이놀즈 장관도 이날 타임스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디지털 서비스 세금 삭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cherora@yna.co.kr
0

https://youtu.be/oxG3h53gt44
YOUTUBE
https://www.youtube.com/embed/oxG3h53gt44
(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3 03:1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