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硏, 슈퍼박테리아 내성 극복한 신규 항생제 개발
생물학에 나노기술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치료법 제시
박주영
입력 : 2025.04.08 10:15:00
입력 : 2025.04.08 10:15: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감염병연구센터 류충민 박사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와 지질 나노입자 기반 신규 항생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고위험성 세균이다.
이는 항생제 오남용에 의해 생기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슈퍼박테리아를 '차세대 팬데믹'이 될 것으로 경고했다.
연구팀은 유익한 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한 병원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바이오 나노 기술을 개발했다.
슈퍼박테리아 녹농균의 생존에 필요한 철분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유기물질인 '시데로포어'(siderophore)에 금 나노입자를 결합, 새로운 개념의 나노입자를 설계했다.
여기에 특정 파장의 빛(근적외선)을 처리하면 세균으로 들어간 금 나노입자가 순간적으로 수백도의 열을 발생시켜 녹농균을 사멸시키는 원리다.
피부 감염 생쥐 모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상처가 신속하게 치유된 모습이 확인됐다.
면역세포나 정상 피부 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또 유전체 편집 시스템인 '크리스퍼 카스 13a 유전자 가위'(CRISPR-Cas13a)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질 나노입자를 설계했다.
가이드RNA가 교정해야 할 유전자 부위를 인식하면 절단 효소인 카스 13a가 세포 내 리보핵산(RNA)을 무작위적으로 분해해 세균을 죽인다.
패혈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지질 나노입자에 의해 세균 몸속으로 들어간 유전물질이 치명적인 유전자 편집을 일으키며 세균이 사멸돼 패혈증을 성공적으로 억제한 모습을 확인했다.
류충민 박사는 "슈퍼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학에 나노기술을 접목해 기존 항생제 치료 방식에서 벗어난 차세대 감염 치료법을 제시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지난 2월 2일 자로 실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jyou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상법 개정안 처리 가능성에 지주사株 강세…HS효성 상한가
-
2
피앤에스로보틱스(460940) 상승폭 확대 +6.46%
-
3
상반기 국내 코인 상장 전년대비 33% 늘었다 [매일코인]
-
4
삼양사(145990) 소폭 상승세 +3.29%, 외국계 매수 유입
-
5
한양증권(001750) 소폭 상승세 +4.91%, 외국계 매수 유입
-
6
상반기 업비트 상승코인 2개뿐..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 그런데 상승률이 1%대
-
7
한화투자증권, ‘국내·미국주식 투자의 시작’ 이벤트 실시
-
8
삼성운용, KODEX 증권 순자산 3000억원 돌파
-
9
일성아이에스(003120) 상승폭 확대 +9.27%, 52주 신고가
-
10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고배당주 ETF 中 1·3·6개월 수익률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