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취업자 19만3천명↑…'고용한파' 제조업·건설 일자리 급감(종합)
건설업 역대 최대폭 마이너스…제조업도 4년4개월만에 최대 감소폭 청년 고용률 '위태'…청년 쉬었음 45만5천명, 3월 기준 역대 최대
송정은
입력 : 2025.04.09 08:50:36 I 수정 : 2025.04.09 09:07:15
입력 : 2025.04.09 08:50:36 I 수정 : 2025.04.09 09:07:15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송정은 기자 = 지난달 취업자 수가 약 20만명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는 급감했고, 청년층 고용부진도 계속됐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58만9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9만3천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일자리사업 일시종료 등의 영향으로 5만2천명 감소했다가 올해 1월 13만5천명 늘어난 뒤 3월까지 3개월째 10만명대 증가세를 유지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위축이 계속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8만5천명 급감하면서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11개월 마이너스를 이어가면서 최장기간 감소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통상 고용지표는 경기 후행지표로 꼽힌다.
지난해부터 지속된 건설업 부진이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 취업자도 작년 동월보다 11만2천명 줄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11월(-11만3천명)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9개월 연속 감소세다.
취업자 규모가 400만명을 넘는 제조업은 우리나라 고용시장을 지탱하는 산업이다.
올해 들어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까지 이어진다면 제조업 일자리 한파가 더 혹독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1만2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7천명), 금융·보험업(6만 5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노년층이 고용시장을 이끌었다.
취업자는 60세 이상에서 36만5천명 증가했다.
30대도 10만9천명 늘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20만6천명 감소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4만9천명, 2만6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고용률 역시 청년층에서는 44.5%로 집계돼 작년 동월보다 1.4%p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21년 3월(43.3%) 이후 최저치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 고용률이 낮은 이유는 20대 초반은 학교에 다니는 등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가 많기 때문"이고 했다.
실업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2만6천명 증가한 91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0만 1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4만명 감소했다.
그중에서 쉬었음 인구는 7만1천명 늘었다.
특히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1년 전보다 5만2천명 늘어난 45만5천명으로 집계됐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3월 기준 가장 큰 규모다.
sj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픈AI가 몰고온 슈퍼사이클에 올라타야"
-
2
NAVER, UPbit 손잡고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추진
-
3
1兆 판교 테크원타워 매각전 개막…국내외 큰손들 대거 참여
-
4
M7 주가 '희비'…상반기 1등은 메타
-
5
불황 늪 석화·2차전지에 '신용등급 쇼크'… 재무리스크 더 커졌다
-
6
상반기 제일 잘 나간 ETF는?···방산·원자력 세자릿수 수익률 압권
-
7
다원시스, 159.76억원 규모 공급계약(배터리 지붕탑재형 무가선 저상트램 차량 제작) 해지
-
8
코스닥서 짐싸는 개미들…코스피 투자 확 늘렸다
-
9
[인기검색TOP5] SK, 한화, LG씨엔에스, 동양철관, 현대건설
-
10
상법개정 초읽기…지주사株 신고가 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