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예외' 스마트폰·PC업계, 안도의 한숨…"불확실성 일부해소"

삼성 스마트폰 상호관세 0%·애플 0%? 20%?…"불확실성 완전 해소는 아냐"반도체 업계 "반도체 관세 태도 여전히 애매해…상황 예의 주시"
조성미

입력 : 2025.04.13 11:23:23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장하나 기자 =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12일(현지시간) 제외하자 국내 제조업계와 당국은 불확실성이 일단 해소됐다며 안도를 내비쳤다.

다만, 이번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상황은 아니어서 미 행정부의 입장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미 행정부의 이번 결정이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면서도 여전히 관세 불확실성 해소와는 거리가 있다고 보고 있다.

◇ 국내 스마트폰 업계 "일단 안도"…애플 공급 부품업계에도 희소식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중국에 부과한 125%, 그 외 국가에 대한 10%의 상호관세를 이들 품목에는 일단 적용 유예하겠다는 결정이다.

삼성전자 모바일사업부(MX)는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13일 공식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다.

모바일 제조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PC 부품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결정된 데 대해 안도하지만,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ICT(정보통신기술) 수출 당국자는 "아이폰에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등을 공급하는 국내 부품업계에도 애플에 대한 관세가 145%에서 크게 낮아진 것은 안도가 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중국에 생산 공정이 없는 삼성 스마트폰은 상호관세에서 일단 자유로워졌지만, 중국에서 90% 가까이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는 상황이 모호한 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별개로 펜타닐 등 마약 대응을 이유로 중국에 부과한 '10%+10%'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제조 스마트폰에 대한 20% 관세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보도하는 등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적용되는 관세가 10∼20%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크게 유의미하지 않다"면서도 "미국이 중국에 대한 태도 변화가 워낙 변덕스러운 만큼 상황을 잘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백악관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미국은 반도체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중국 반도체 스마트폰(CG)
[연합뉴스TV 캡처]

◇ 반도체 제조장비 예외 삼성에 유리…메모리 업황 부진 우려도 해소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제외되면서 현재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이 상호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되면서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도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상호관세 부과로 스마트폰 등의 가격이 오르게 되면 소비가 둔화해 범용 메모리 업황도 부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만큼 아직 안도하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이 반도체 업계에서도 제기된다.

반도체 업계의 불확실성 역시 여전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반도체(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이날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관세에 대해 여전히 애매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대응에도 한계가 있다"며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정부와 보조를 맞춰 대응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미국 정부는 지난 5일 10%의 기본 상호관세에 이이 이날 0시1분(현지시간)부터 한국을 비롯해 80여개 국가에 대해 최소 11%에서 최고 5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의 관세가 붙게 돼 수출 중심 경제체제로 미국시장의 비중이 큰 한국은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2025.4.9 xanadu@yna.co.kr

cs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4 13: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