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자산 안 따지는 빌라 전세임대 5천가구 나온다

살고 싶은집 구해 신청하면 LH가 집주인과 계약 보증금 최대 2억원 지원…입주자 부담 20%
박초롱

입력 : 2025.04.18 06:55:00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2025.3.18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다음 달부터 입주 신청자의 소득·자산을 따지지 않는 비(非)아파트 전세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전세임대는 입주 대상자가 직접 거주하기 원하는 주택을 구하면 LH가 집주인과 전세계약을 맺은 뒤 이를 입주자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제도다.

그간 전세임대 대상은 저소득층과 청년, 신혼부부였지만 전세사기 등으로 침체한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세임대 사업을 확대했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사업자는 다음 달 전세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낼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8·8 대책을 통해 소득·자산과 무관하게 최대 8년간 거주할 수 있는 전세임대 유형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는데, 9개월 만에 입주자 모집에 나서는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전세임대에 있는 소득·자산 요건을 없애 중산층도 이용할 수 있도록 별도 물량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올해 공급 목표 물량은 5천가구이며, 이를 위한 예산 5천200억원이 책정돼 있다.

확대되는 비아파트 전세임대에는 무주택자만 지원할 수 있다.

신생아 출산가구와 다자녀 가구를 1순위로 우대한다.

수도권에서는 전세보증금 최대 3억원까지 전세임대를 신청할 수 있다.

LH 등 공공주택사업자는 신청자가 구해온 전셋집 보증금을 수도권 기준으로 최대 2억원까지 지원한다.

3억원짜리 전셋집이라면 신청자가 1억원을 부담해야 한다는 뜻이다.

광역시의 경우 최대 1억2천만원이 지원 한도다.

LH가 지원하는 보증금 중에서도 20%는 입주자 부담이다.

입주자가 2억원짜리 전세를 얻는다면 4천만원을 부담하고, 월 임대료로 13만∼26만원을 내야 한다.

LH에서 전세대출을 받아 연 1∼2%대 이자를 부담하는 꼴이다.

장점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에 LH가 가입하고, 안전한 집인지 확인한 뒤 전세계약 절차에 들어가기 때문에 세입자가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낮다는 점이다.

정부는 올해 5천가구에 이어 내년에도 소득·자산을 따지지 않는 비아파트 전세임대 5천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chopar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9 16:3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