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를 보였으나 찜찜한 구석도 있었다.
미국이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데 이어 대중(對中)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주가는 치솟았다.
하지만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오름폭은 상당 부분 축소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인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중국으로부터 아무런 양보를 받아내지 못한 채 관세 인하를 검토하면서 미국에 대한 신뢰가 약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2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상승한 39,606.5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뛴 5,375.86, 나스닥종합지수는 407.63포인트(2.50%) 급등한 16,708.05에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증시는 아시아장에서부터 시작된 강세 흐름을 마감까지 이어 나갔다.
트럼프는 전날 오후 "파월을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파월이 (금리) 인하 계획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우리는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며 "중국과 합의에 도달할 것이고 중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도 결국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가 이처럼 유화적으로 돌아서면서 증시는 강세로 화답했다.
장 중 트럼프가 대중 관세를 50~65%까지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주요 주가지수는 오름폭을 더 늘렸다.
나스닥 지수는 한 때 상승폭이 4.47%까지 확대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가 일방적으로 대중 관세를 인하할 생각은 전혀 없다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주가지수는 상승분을 대거 토해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우리는 그것이 실현될 것이라고 낙관한다"면서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이날 트럼프가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완화하겠다고 제안했는지 질문을 받자 묻는 말에 "전혀 없다"고 답했다.
글로벌트인베스트먼트의 키스 뷰캐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조금이라도 진정되는 것은 시장이 간절히 바라던바"라며 "시장은 안도감을 느끼고 있으나 아직 최종 단계에 도달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파이퍼샌들러는 "트럼프가 '해방의 날' 이전에 시행했던 20% 관세를 제외한 모든 관세를 철회한다면 트럼프도 관세 정책을 대폭 축소하고 싶어 한다는 신호가 될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과 중국이 단기 휴전을 맺는 가운데 대중 관세율은 145%보다는 훨씬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이라는 브랜드를 해치고 있으며 신뢰성에 흠을 내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미국 헤지펀드 시타델의 켄 그리핀 창립자는 이날 "우리의 문화, 재정적 강점, 군사력에 이르기까지 미국은 단순한 나라 그 이상으로 부상했고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에게 미국은 하나의 이상이었다"며 트럼프가 지금 그 브랜드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기술은 2.9% 급등했고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도 2%대 강세를 보였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상승했다.
아마존과 메타는 4% 넘게 올랐다.
테슬라는 전날 장 마감 후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이날 5.37% 뛰었다.
관세 여파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에 대한 비판으로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으나 어느 정도 불확실성이 반영됐다는 관측이 매수세를 자극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 급등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이 모두 강세를 보인 가운데 브로드컴과 TSMC, AMD, Arm, 인텔은 5% 안팎으로 튀어 올랐다.
멕시코 증시에 상장된 종목으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ETF)는 이날도 2% 가까이 올랐다.
미국과 멕시코 간 관세 협상이 결국 타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은 1분기 순손실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주가가 6%가량 급등했다.
보잉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737 맥스 기종의 생산 확대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미국의 민간 경기는 1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후퇴했다.
특히 서비스업 경기의 확장세가 큰 폭으로 둔화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4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1.4로 전달 확정치 54.4보다 3.0포인트 내려갔다.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 PMI 예비치는 50.7로 전달 확정치 50.2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2개월 만에 가장 높지만 50.0(변동 없음) 수준의 미미한 확장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41.1%까지 올라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