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풍 AI 이미지 세대차…"20대는 개인 소장·60대는 프사"
생성형 AI로 글쓰고 퇴고하는 20대…언론재단 "문해력 변화"
이세원
입력 : 2025.05.01 11:00:43
입력 : 2025.05.01 11:00:43

[한국저작권위원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오픈AI의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 사진 변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가운데 이를 활용하는 방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서베이' 최신호에 실은 생성형 AI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생성형 AI 국내 사용자의 59.5%는 생성형 AI를 이용해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변환 기능을 이용한 이들 중 절반이 넘는 52.4%는 해당 이미지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혹은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30.9%는 변환 후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 보면 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사용한 이들의 비율은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면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하는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0.7%로 가장 낮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서베이' 11권 2호 발췌·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이는 생성형 AI의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한 이들로 모집단을 한정해 분석한 결과다.
생성형 AI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각 연령대 전체를 모집단으로 가정하고 생성형 AI가 변환한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쓴 이들의 비율을 계산해보면 20대가 1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16.3%, 40대 10.7%, 50대 6.5%, 60대 3.4%였다.
최근 1개월 이내에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57.2%였고 이 가운데 생성형 AI를 처음 쓴 시기가 최근 한 달 이내인 이들은 37.0%였다.
언론진흥재단은 "1달 이내 생성형 AI 이용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최근 이슈가 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풀이했다.
생성형 AI 사용자에게 용도(복수응답)를 물었더니 정보 검색이 81%, 글쓰기 및 다듬기가 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이 51.0%, 외국어 번역 42.1%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글을 쓰거나 다듬기 위해 AI를 사용한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을 연령별로 분석했더니 20대가 68.3%로 가장 높았고, 30대 60.0%, 40대 48.3%, 50대 37.6%, 60대 29.3%의 분포를 보였다.
글쓰기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비율이 저연령층에서 높은 것에 대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부담감 증가 또는 문해력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언론진흥재단은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1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sewonle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여기도 이제 자리 맡기 힘들겠네”...더 밝게 빛나는 별, 스타벅스의 대변신
-
2
“외국여성들 ‘한국산’에 흠뻑 빠졌어요”...인기 꺾이지 않는 K뷰티 ‘승승장구’
-
3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 1등은 중국인...작년 한해 얼마나 타갔나 보니
-
4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종합)
-
5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
-
6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7
“올려야하나 말아야하나”...세금 증세론 터져나온 정치권
-
8
서울시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어려운 세금신고 도와드려요"
-
9
[게시판] 롯데마트·슈퍼, 어린이날 맞아 'SOS어린이마을' 아동 초청
-
10
쿠팡 "뷰티 디바이스 검색량 86% 급증…상품 종류 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