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율 관세에 인니, 中 태양광 기업 도피처로 떠올라

美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 최고 3천500% 넘는 관세 폭탄…인니는 관세 피해
박의래

입력 : 2025.05.03 12:17:29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인도네시아 데폭의 버스 정류장에서 기술자가 태양광 발전 패널을 점검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되는 중국 기업의 태양광 제품에 3천%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는 지난달 중국산 태양광 부품이 동남아 국가를 거쳐 미국으로 우회 수출된다며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산 태양광 부품에 반덤핑관세(AD)와 상계관세(CVD)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기업과 각 국가에 따라 최고 3천500%가 넘는 관세 폭탄이 떨어졌다.

전 세계 태양광 셀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의 점유율은 약 80%에 이른다.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제품의 관세를 꾸준히 올려왔고, 중국 기업들이 이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자 미국은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물리는 상황이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서는 4개의 신규 태양광 부품 공장이 가동 중이며 2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추진 중이다.

지난해 12월 중국 홍시그룹은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 지역 태양광 산업 단지에 50억 달러(약 7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솔라텍 인도네시아 2025' 전시회에는 진코 솔라, 트리나 솔라 등 중국계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했다.

이에 맞춰 인도네시아도 태양광 산업 유치를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힘쓰고 있다.

인도네시아 내 태양광 발전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는 태양광 모듈 원료인 실리카 모래가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을 노리고 있다.

파비 투미와 인도네시아 필수서비스개혁연구소(IESR) 소장은 "중국은 태양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과의 협력이 인도네시아에 유리하다"며 "트럼프의 관세 조치 이후 인도네시아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기울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laecorp@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4 01:1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