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말 외환보유액 4천47억달러, 50억달러↓…5년 만에 최소

1년 만에 최대 감소폭…국민연금 스와프·금융기관 예수금 축소3월기준 세계 10위로 한단계↓…한은 "일시적 감소…4천억달러 하회 가능성 작아"
신호경

입력 : 2025.05.08 06:00:02


미국 달러화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이 겹치면서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5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감소 요인의 상당 부분이 일시·계절적인 데다 최근 원/달러 환율도 하락세인 만큼 외환보유액이 4천억달러 아래까지 기조적으로 내려갈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이 8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천46억7천만달러(약 563조9천76억원)로, 3월 말(4천96억6천만달러)보다 49억9천만달러 감소했다.

작년 4월(59억9천만달러) 이후 1년 만에 최대 폭 감소하면서 2020년 4월(4천49억8천만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미국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달 9일 주간 거래에서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6원까지 뛰는 등 불안한 환율 탓에 한은과의 스와프 계약을 통한 국민연금의 환 헤지(위험분산)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외환보유액 추이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황문우 한은 외환회계팀장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가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분기 말 회계 비율 관리를 위해 유입된 외화예수금도 다시 빠져나가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면서도 "외환스와프 만기에는 국민연금으로부터 다시 자금이 돌아오고, 금융기관 예수금도 계절적 특성에 따른 것인 만큼 기조적으로 계속 외환보유액이 줄어 4천억달러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원/달러 환율도 1,300원대로 다시 떨어지면서 국민연금의 환 헤지(위험분산) 필요성도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큰 만큼 외환보유액 감소를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3월 말 기준(4천97억달러)으로 세계 10위 수준이다.

2023년 8월 이후 올해 2월까지 9위를 유지하다가 한 단계 떨어졌다.

중국이 3조2천407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725억달러)과 스위스(9천408억달러), 인도(6천683억달러), 러시아(6천474억달러), 대만(5천78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542억달러), 독일(4천355억달러), 홍콩(4천125억달러)이 뒤를 이었다.

황 팀장은 "특히 3월 독일이 10위에서 8위로 두 단계 올랐는데, 독일 외환보유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금의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요국 외환보유액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1 00:0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