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5.05.23 17:04:15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인투셀 (287840) 33,200원 (+95.29%)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7,000원을 상회한 37,1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ADC(항체약물접합체) 플랫폼 업체로 항암제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ADC(Antibody-Drug Conjugate, 항체-약물접합체) 분야에서 독자적인 링커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Drug(약물)과 접합하는 링커기술과 ADC용 약물을 연구. | |
사피엔반도체 (452430) 22,450원 (+15.31%) | AI+AR 글래스 시장 개화 속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작년 한 해 동안 미국, 중국, 유럽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총 3건의 LEDoS 관련 NRE 계약을 공시했으며, 올해는 일본 고객사로의 NRE 추가 계약이 예상된다고 밝힘. 동사 실적은 NRE 계약의 매출 반영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기존 NRE 계약이 양산 공급 계약으로 전환되고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AI + AR 글래스 출시가 본격화됨에 따라 실적의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현재 AI+AR 글래스를 개발 중인 빅테크 업체들은 높은 휘도와 저전력 구동을 핵심 디스플레이 사양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언급. 단기적으로는 단가 측면의 이점과 다수의 양산 레퍼런스를 보유한 LCOS 기반 제품들이 시장에 먼저 공개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휘도와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위를 갖춘 LEDoS 중심의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고 분석. | |
제이투케이바이오 (420570) 11,300원 (+12.44%) | AI·약물전달 융합 고효능 항노화 화장품 개발 공공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천연물·인공지능(AI)·약물전달 기술 결합을 통한 항노화 화장품 소재 및 제형 개발 공공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과제를 통해 동사는 혁신적인 피부노화 개선 소재에 대한 개발 기술을 내재화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번 국책과제는 ‘천연물을 기반으로 AI·약물전달 기술을 융합한 항노화 화장품 소재 및 제형 개발’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으며, 동사가 주관하고 충북대학교, 링크인사이트, 한국세라믹기술원, 잇츠한불, 서원대학교 등이 공동 참여할 예정. 해당과제는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단계별로 전문 기관들이 협력해 고도화된 연구개발을 추진할 예정임. ▷특히, 1단계에서는 동사가 충북지역 유래 천연물을 활용해 자체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피부상재균을 완화하는 항노화 기능성 소재를 발굴할 예정. 동사는 최근신규 원료물질 발굴을 위한 라이브러리 플랫폼 ‘J2K METABIOME.ai(제이투케이 메타바이옴 에이아이)’를 출시한 바 있음. | |
선익시스템 (171090) 39,850원 (+7.27%) | 2분기 실적 가파른 성장 전망 등에 강세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5월 20일부터 작년에 수주한 중국 BOE향 8.6세대 증착기 장비 반입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2분기 실적은 8.6세대 증착기의 본격적인 매출 반영으로 매출액 2,148억원(+404.3% YoY), 영업이익 426억원(+472.2% YoY)으로의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어 연말 내로 기존 고객사인 중국 BOE향 Phase2 증착기 수주를 예상한다며, 동사의 가파른 실적 성장 흐름은 유지될 전망이라고 언급. 또한 동사의 장비가 일본 경쟁사 대비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어, 8.6세대 시장에서 표준 장비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BOE를 제외한 타 패널사로의 수주 모멘텀 역시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8,000원 -> 65,000원[하향] | |
인벤티지랩 (389470) 42,950원 (+6.71%)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국책과제 선정 소식에 강세 |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는 ‘핵산치료제 맞춤형 지질나노입자의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자동화 공정 시스템 개발’ 관련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의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 공시. 연구개발 목표는 AI 기반 지질나노입자(LNP) 제형 최적화 및자동화 제조 공정 시스템 개발, 임상 후보물질 확보와 IND 개발 전략 수립 및 Package 문서 준비를 통한 Filing/승인 등임. | |
오르비텍 (046120) 2,660원 (+6.19%) | KAI와 'KF-21' 기계가공품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차세대 전투기 KF-21(보라매) 기종의 기계가공품 공급계약을 수주했다고 밝힘. KF-21은 한국이 독자 개발 중인 4.5세대급 전투기로, 동사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항공사업부의 생산능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설비 투자를 단행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고도의 정밀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기체 구조물 및 부품의 생산에는 고성능 가공 설비가 필수적인데, 동사는 이번 공급계약을 통해 해당 분야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힘. | |
나인테크 (267320) 3,030원 (+3.77%) | 맥신 상용화 생산시설 구축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차세대 소재 '맥신(MXene)' 사업화를 전담할 신규 법인설립을 완료하고 관련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고 밝힘. 이차전지 및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 중 맥신의 대량 생산과 상용화를 동시 에 추진하는 사례는 드문 상황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모빌리티 분야 소재기업과의 사업 협력 중이다. 제품 공급과 관련된 협의 단계이고 기존 장비사업에서 축적한 정밀제조 기술과 품질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고순도 맥신의 대량생산과 응용처별 맞춤형 공급이 가능하다"며 "소재 전문 기업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힘. | |
DS단석 (017860) 24,000원 (+3.23%) | 한국에너지공대와 SMR 기술개발 추진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과 미래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및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소형모듈원전(SMR) 관련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특히 에너지 분야 공동연구 및 포괄적 기술협력, 에너지 기술연구 개발 관련 자료 및 정 보 교류, SMR 및 초소형모듈원전(MMR) 사업 공동연구, 에너지 기술 개발 및 연구를 위한 인적교류, 기타 상호 협의에 따른 공동 노력 및 지원 등을 협업할 예정. ▷동사 관계자는 “양 기관의 연구역량이 시너지를 발휘해서 에너지 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유의미한 실적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파워넷 (037030) 2,365원 (+2.83%) | 국내 최대 생활용품 판매기업에 제품공급 확정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생활용품 판매기업과 협력관계를 맺고 제품 공급을 위한 준비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제품 공급은 지난해부터 미래 성장성 확보를 위해 B2C(기업대소비자간거래) 사업을 준비해온데 따른 것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난 몇 년간 사업구조 다변화에 역량을 집중해왔고 그 중 하나가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공급하는 B2C 사업이었다"며 "이번에 공급 예정인 5~7종의 소형 전자제품을 시작으로 고객이 추구하는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을 기반으로 시장성 있는 디자인,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 라인업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힘. | |
인바디 (041830) 25,000원 (+2.46%) | 북미지역 3분기 연속 사상 최대 실적 경신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력 시장인 북미지역에서 미군(U.S. Army) 매출이 없었음에도 미국 시장 주도로 3분기 연속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힘. 특히 ASP 1.5만 달러 이상의 Highend 모델이 성장을 견인하는 것이 고무적이라고 밝힘. High-end 모델이 주로 사용되는 곳은 병원으로 현재 병원 향 매출은 전체 미국 매출의 38%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미국 매출은 2024년 기준 644억원인데, 미국 전역으로 판매 거점과 판매 인력을 확대하고 있는 점과 국내 시장 피크 매출이 403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향후 몇년간 미국 시장 중심의 성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고 밝힘. ▷또한, 동사의 25년 실적은 매출 2,331억원(+14% YoY), 조정 EBITDA 454억원(+2% YoY, 조정 EBITDA 마진 19.5%)을 기대한다고 밝힘. 현 주가는 12개월 선행 EV/EBITDA 4.1배로 동사의 지난 3년 평균(5.3배) 대비 저평가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5,000원[유지] | |
에이유브랜즈 (481070) 15,750원 (+2.27%) | 24.42억원 규모 AUBRANDZ CHINA(중국)(가칭) 출자증권 신규 취득 결정 속 소폭 상승 |
▷에이유브랜즈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법인 설립 및 지분 취득 목적으로 (가칭) AUBRANDZ CHINA (중국)(가칭) 에이유브랜즈 차이나 (중국) 출자증권을 24.42억원(자기자본대비 7.49%)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8-07-31) 공시. 취득후 지분비율은 51%.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번 중국 합작법인 설립은 현지 유통 및 브랜드 운영에 강점을 가진 파트너들과의 결합으로 매우 전략적인 의미를 갖는다"며, "락피쉬웨더웨어를 통해 중국 소비자에게 감성 기반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아시아 패션 시장 내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 |
유니슨 (018000) 1,587원 (-4.05%) | 376.0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채무상환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아네모이(최대주주) 대상으로 376.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783원, 전환청구기간:2026-05-26~2027-04-26) 공시. ▷한편, 금일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020년 8월 발행한 300억원 규모의 제14회 전환사채에 대해 이자 포함 총 376억원을, 동일 금액의 제17회차 전환사채를 발행해 5월22일 원리금 전액 차환했다고 밝힘. | |
글로본 (019660) 3,300원 (-6.38%) | 감자 후 변경상장 첫날 약세 |
▷감자 결정에 따라 지난 5월2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3월 결손금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66.67% 비율의 감자를 결정한 바 있음. | |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43,350원 (-9.12%) | 1,4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급락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어센트에쿼티파트너스 대상으로 3,615,960주(1,4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40,100원, 상장예정:2025-09-12) 공시.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신세계그룹과 어센트EP가 동사 구주와 신주에 총 2,850억원을 투입해 지분 40% 가량을 확보할 것으로 알려짐. 딜 클로징 시 최대주주 측 지분율은 30% 중반대로 낮아질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 |
씨씨에스 (066790) 1,429원 (-18.30%) | 최대주주 보유주식 가압류 결정 속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의 보유주식 가압류 결정 공시. 이와 관련, 최대주주인 주식회사 그린비티에스가 소유하고 있는 당사 발행 보통주식 5억원(대여금) 규모에 대하여 가압류가 법원으로부터 결정됐다고 밝힘.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인벤티지랩 | 42,950 | 2,700 | +6.7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