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내버스 파업 가결…27일 최종협상 결렬시 28일 파업

통상임금 등 이견 못좁혀…시내버스 669대 운행 중단 위기
김선경

입력 : 2025.05.23 18:46:30


기다리는 시민들
2023년 4월 19일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마산합포구 한 버스정류소에서 시민들이 시가 비상수송대책으로 마련한 임시 시내버스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 시내버스 파업이 조합원 투표에서 찬성 가결됐다.

23일 창원시에 따르면 이날 준공영제를 운영 중인 시내버스 9개사 노조 조합원 1천621명 중 1천455명이 투표에 참여해 1천387명이 파업에 찬성(전체 종사자 대비 85.6%)했다.

노사가 오는 27일 오후 2시부터 시작하는 마지막 조정회의에서 최종 협상에 이르지 못하면 28일 첫차부터 창원 전체 시내버스의 95% 상당인 669대가 운행을 멈춘다.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2025년 임금·단체협상을 위해 지난해 12월 20일부터 교섭 5차례, 사전조정 2회 등 7차례 협상을 진행해왔다.

노사는 정기 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은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봐야 한다는 판결을 내놓은 바 있다.

통상임금은 수당과 퇴직금의 산정기준이 되는 임금인데, 통상임금이 올라가면 각종 법정 수당 등도 함께 오른다.

사측은 이번 협상에서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임금 상승효과를 최소화하자는 입장인 반면 노측은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은 분리해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는 노사 입장차가 길어짐에 따라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에 대비, 시내버스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한 상태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통상임금 문제로 창원을 비롯해 서울·부산·울산·경기·제주 등 11개 지역 노조가 연대해 공동파업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이번 협상 결과가 시 재정부담으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버스업계와 계속해서 대화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ks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4 03: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