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5.28 11:17:17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2차전지(나트륨이온), 두나무(Dunamu), 리튬, 정유, 퓨리오사AI, 건설 대표주, 스마트카(SMART CAR), 철강 주요종목, 증권, IT 대표주, HBM(고대역폭메모리),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온디바이스 AI, 폐배터리, 뉴로모픽 반도체,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3D 낸드(NAND),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2차전지(생산), 자동차 대표주, 요소수, 아이폰, 2차전지(소재/부품),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모듈러주택, LED장비, 창투사, 지역화폐, 윤활유, 항공/저가 항공사(LCC), 2차전지(장비), 음원/음반 등...
약세 테마엠폭스(원숭이두창), 코로나19(진단키트),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비만치료제,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미용기기, 치매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2차전지 /전기차 등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전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와 GM은 2027년 완공 예정인 미국 인디애나 합작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이 공장은 당초 니켈이 80% 이상 들어간 삼원계 배터리만 생산하도록 설계됐지만, LFP 배터리도 병행 생산하기로 한 것으로, 삼성은 이를 위해 소재 조달과 장비 도입 계획을 짜고 있다고 알려짐. 이어 LG에너지솔루션도 GM과 합작한 테네시주 공장의 일부를 LFP 생산라인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이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설립하는 미국 공장에 합작 투자한 제너럴모터스(GM)가 차값을 내리기 위해 당초 계획한 삼원계 대신 값싼 LFP 배터리로 교체해달라고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프리미엄 전기차는 삼원계, 중저가 전기차는 LFP로 미국 배터리 시장이 빠르게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정치 대신 회사 업무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한 영향으로 6.94% 급등 마감했음. 이와 관련, 머스크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기업인 엑스(X·옛 트위터)에 "엑스와 인공지능 기업 xAI, 테슬라에 초집중(super focused)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이어 "대대적인 운용 개선이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면서 "업무에 1주일 내내(24/7), 하루 24시간을 쓰는 이전 관행으로 복귀하겠다"고 다짐했음.

▷27일(현지시간) 美 자율주행차(로보택시) 업체인 포니AI는 두바이 교통국과 로보택시 운영에 합의했다고 밝힘. 두바이는 '2030 스마트 시티 비전'에 따라 2030년까지 전체 택시의 25%를 로보택시로 전환하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운 바 있음. 이에 지난밤 포니AI는 22.63% 급등 마감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자이글, 탑머티리얼, 엘앤에프,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코윈테크, 메가터치, 애경케미칼, 하나기술, 대보마그네틱 등 2차전지 등/전기차 테마가 상승했으며, LG이노텍, 유니퀘스트, 삼성전기, 텔레칩스, HL만도 등 자율주행차, 나우로보틱스, 티엑스알로보틱스, 싸이맥스, 스맥, 위세아이텍, 영우디에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도 상승.
반도체 관련주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38%) 급등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시점을 유예하기로 하면서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이 커진 데다 미국의 소비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상승.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8.71(+3.38%) 상승한 4,861.09를 기록. 애플(+2.53%), 마이크로소프트(+2.33%), 아마존(+2.50%), 알파벳A(+2.63%), 메타(+2.43%), 암 홀딩스 ADR(+5.33%), 마이크로칩 테크놀러지(+4.43%), 엔비디아(+3.21%) 등 여타 대형 기술주 및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음.

▷아울러 28일(현지시간) 컴퓨터 그래픽용 칩 제조업체인 엔비디아(NVIDIA)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 블룸버그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이번 분기(2~4월) 실적 컨센서스는 조정 주당순이익(EPS) 0.88달러, 매출 433억달러로, 전년 동기(조정 EPS 0.61달러, 매출 260억달러) 대비 각각 44%, 66% 증가한 수준. AI 서버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에서 높은 성장률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며, 월가에서는 엔비디아가 데이터센터와 AI 반도체 수요를 바탕으로 또 한 번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음.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 4분기부터 HBM4 12단 제품을 대량 양산해 엔비디아에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엔비디아가 루빈 플랫폼의 출시 일정 및 공급 물량을 확정하는 대로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SK하이닉스는 올 하반기 완공되는 청주M15x 팹에도 양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임. 이와 관련,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수요에 발맞춰 생산능력을 확충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르면 10월 양산에 돌입할 수도 있어 7~8월에 장비 발주를 진행할 수도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시지트로닉스, 디아이, 메가터치, 엘케이켐, 자람테크놀로지, 네패스, 테크윙, GST, 미래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건설 대표주/중소형경기 부양책 및 금리 인하 기조 등에 따른 건설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은행 금리 인하 및 대통령 선거 이후 추가 경정 예산 편성 등 경기 부양책이 나오면 건설시장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BNK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건설업종 상승 반전의 계기는 무엇보다 턴어라운드(실적 반등) 기대감이라며, 주택 부문의 실적 개선이 추세적으로 이어질 수 있느냐가 중요한데, 긍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실물경제, 금리, 정부정책, 수요, 공급 등 5가지 변수로 전망해 보면 향후 주택경기는 상승기조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주요 변수 중에서 실물경제는 부정적이지만, 실물경제가 침체될수록 정부의 경기부양 유인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또한, 금리는 속도의 문제일 뿐 인하 기조는 분명해 보이기 때문에 주택경기에 우호적이며, 주택경기에 가장 중요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급도 집값을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특히, 공급 부족(입주물량 감소)의 영향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

▷한편, IBK투자증권은 GS건설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주택, 건축 부문에서의 대규모 도급 증액과 신사업 부문의 입주 확대 흐름이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 또한, 이니마 매각으로 중장기적인 주가 재평가(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GS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DL이앤씨, KCC건설, 아이에스동서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중소형하반기 철강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는 정치적 불확실성, 글로벌 통상무역 악화 등 직간접적으로 악재가 철근 수요에 영향을 줬지만, 하반기는 대선 이후 계엄 및 탄핵 국면에서 지연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SOC 투자 재개, 감산 노력에 따른 수급 안정화, 주택 시장 분위기 전환 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이에 올해 4분기는 비용 부담 완화, 스프레드 개선 등으로 분기 중 가장 좋은 수익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한국에 수출하는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하기로 한 가운데, 올해 들어 철강 생산을 줄이는 감산 조치까지 내리면서 4월 조강 생산량이 7.4% 감소했다고 전해짐. 중국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강 생산을 줄인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이후 4월 조강(쇳물) 생산량은 8,602만 톤으로 전월 대비 7.3% 감소. 하반기 이후부터 좀 더 적극적인 조치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의 감산에 따른 체감 효과는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POSCO홀딩스, 동국제강, 포스코스틸리온, 한국특강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가 상승.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하이브, 에스엠 지분 텐센트에 매각에 따른 한한령 해제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하이브, 전일 장 마감 후 투자 자산 관리 효율화 목적으로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지분 전량(2,212,237주)을 2,433.46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5-05-30) 공시. Tencent Music Entertainment Hong Kong Limited에 매각하는건으로, 해당 주식은 이사회 결의 후 오는 30일 장 종료후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처분될 예정. 이로써 하이브는 2023년 SM 인수전에 참여한 이후 2년여 만에 SM과 지분 관계를 정리하게 됐으며, 카카오와 카카오엔터가 공동체인 점을 감안하면 텐센트는 사실상 SM엔터의 2대 주주로 올라서게 될 예정.

▷하나증권은 에스엠에 대해 텐센트 뮤직이 2대 주주로 올라서면서 중국 시장에서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5만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 조정. 하이브의 공개매수가(12만원)보다 낮은 가격에 블록딜이 이뤄질 경우 오버행 우려가 불가피했던 점을 감안하면, 해당 물량을 텐센트에 매각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밝힘. 향후 한한령 완화 시 높은 수혜 기대감을 키우는 요소이자, 기존의 오버행 이슈를 동시에 해소한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디어유, 에프엔씨엔터, JYP Ent., 알비더블유, 노머스, CJ ENM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9 15:30
LG에너지솔루션 288,000 1,000 -0.35%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9 20:3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