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5.06.11 17:11:58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6/11 KOSDAQ 786.29(+1.96%) 새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美/中 무역합의 기대감(+),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합의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75.43(+4.23P, +0.55%)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774.84(+3.64P, +0.4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후 장중 787.06(+15.86P, +2.06%)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고점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다 결국 786.29(+15.09P, +1.96%)로 장을 마감. 종가 기준 지난해 8월20일 이후 약 10개월 만에 최고치 를 기록.
새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美/中 무역 합의 기대감, 국내 수출 호조 소식 등에 코스닥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알테오젠(+3.82%), HLB(+1.33%), 휴젤(+1.79%), 리가켐바이오(+4.80%)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을 중심으로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이어감. 이날 신규 상장한 지씨지놈(+5.71%)도 상승. 최근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던 에코프로비엠(+2.93%), 필옵틱스(+3.80%), 브이원텍(+3.01%) 등 2차전지 관련주가 반등했고, HPSP(+14.70%), 리노공업(+3.33%), 테크윙(+4.26%)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실리콘투(+19.31%) 등 화장품, 파루(+29.97%), 에스에너지(+10.84%), 대명에너지(+8.22%)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35억, 1,116억 순매수, 개인은 3,03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실리콘투(+19.31%), HPSP(+14.70%), 젬백스(+9.78%), 삼천당제약(+5.88%), 리가켐바이오(+4.80%), 클래시스(+4.51%), 코오롱티슈진(+3.90%), 알테오젠(+3.82%), 리노공업(+3.33%), 에코프로비엠(+2.93%), 휴젤(+1.79%), HLB(+1.33%), 에이비엘바이오(+1.27%), 레인보우로보틱스(+1.06%), 에코프로(+0.57%), 펄어비스(+0.52%), 파마리서치(+0.19%) 등이 상승. 반면, JYP Ent.(-4.05%), 에스엠(-0.92%), 펩트론(-0.36%)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유통(+5.57%), 비금속(+3.44%), 통신(+3.09%), 기계/장비(+3.06%)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일반서비스(+2.80%), 의료/정밀기기(+2.79%), 제조(+1.92%), 전기/전자(+1.90%), 건설(+1.75%), 화학(+1.58%), 제약(+1.47%), IT 서비스(+1.44%), 금융(+1.38%)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오락/문화(-1.56%), 출판/매체복제(-0.55%), 운송/창고(-0.22%) 업종만 하락.
마감지수 : KOSDAQ 786.29P(+15.09P/+1.96%)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합의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75.43(+4.23P, +0.55%)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774.84(+3.64P, +0.4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후 장중 787.06(+15.86P, +2.06%)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고점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다 결국 786.29(+15.09P, +1.96%)로 장을 마감. 종가 기준 지난해 8월20일 이후 약 10개월 만에 최고치 를 기록.
새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美/中 무역 합의 기대감, 국내 수출 호조 소식 등에 코스닥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알테오젠(+3.82%), HLB(+1.33%), 휴젤(+1.79%), 리가켐바이오(+4.80%)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을 중심으로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이어감. 이날 신규 상장한 지씨지놈(+5.71%)도 상승. 최근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던 에코프로비엠(+2.93%), 필옵틱스(+3.80%), 브이원텍(+3.01%) 등 2차전지 관련주가 반등했고, HPSP(+14.70%), 리노공업(+3.33%), 테크윙(+4.26%) 등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 실리콘투(+19.31%) 등 화장품, 파루(+29.97%), 에스에너지(+10.84%), 대명에너지(+8.22%)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35억, 1,116억 순매수, 개인은 3,03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실리콘투(+19.31%), HPSP(+14.70%), 젬백스(+9.78%), 삼천당제약(+5.88%), 리가켐바이오(+4.80%), 클래시스(+4.51%), 코오롱티슈진(+3.90%), 알테오젠(+3.82%), 리노공업(+3.33%), 에코프로비엠(+2.93%), 휴젤(+1.79%), HLB(+1.33%), 에이비엘바이오(+1.27%), 레인보우로보틱스(+1.06%), 에코프로(+0.57%), 펄어비스(+0.52%), 파마리서치(+0.19%) 등이 상승. 반면, JYP Ent.(-4.05%), 에스엠(-0.92%), 펩트론(-0.36%)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유통(+5.57%), 비금속(+3.44%), 통신(+3.09%), 기계/장비(+3.06%)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일반서비스(+2.80%), 의료/정밀기기(+2.79%), 제조(+1.92%), 전기/전자(+1.90%), 건설(+1.75%), 화학(+1.58%), 제약(+1.47%), IT 서비스(+1.44%), 금융(+1.38%)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오락/문화(-1.56%), 출판/매체복제(-0.55%), 운송/창고(-0.22%) 업종만 하락.
마감지수 : KOSDAQ 786.29P(+15.09P/+1.96%)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1 15:30
실리콘투 | 61,200 | 500 | -0.8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서 쿼드 외교장관회의…관세 갈등 속 인태지역 협력 모색
-
2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로 상향 가능성 시사
-
3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연장 생각 안 하고 있어"
-
4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2보)
-
5
머스크의 xAI, 채권발행·대출 포함 100억달러 자금 조달
-
6
[뉴욕유가] 美 지표 호조 속 트럼프 "비축유 채우겠다"…WTI, 0.5%↑
-
7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
8
[1보]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9
'NASA+' 실시간 우주 영상, 올여름부터 넷플릭스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