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정보보호 투자, 매출의 0.1%…"AI 시대에 투자 소홀"

CEO스코어 분석…SKT, IT투자 대비 정보보호 투자 통신3사 중 최저
김아람

입력 : 2025.07.09 06:01:02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국내 주요 기업의 전체 매출액 대비 정보보호 투자액 비중이 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에 최근 3년 연속 공시한 585개 기업의 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정보보호 부문 투자액은 2조2천40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의 1조7천741억원과 비교하면 28.4% 증가한 수준이다.

그러나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2022년 0.1%(매출 1천734조4천379억원), 2023년 0.12%(매출 1천686조9천952억원), 2024년 0.13%(매출 1천787조3174억원)로 0.1% 선에 그쳤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IT 부문 총투자액은 28조7천949억원, 33조463억원, 36조1천91억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각각 6.1%, 6%, 6.2%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CEO스코어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주요 기업들이 AI, 로봇,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 투자는 꾸준히 확대하고 있지만 필수 요건인 정보보호 투자에는 소홀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CEO스코어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기업별로 지난해 정보보호 부문에 1천억원 이상 투자한 회사는 삼성전자(3천562억원)와 KT(1천250억원) 두 곳이었다.

이어 쿠팡(861억원), LG유플러스(828억원), SK텔레콤(652억원), 삼성SDS(652억원), SK하이닉스(622억원), 네이버(553억원), 우리은행(444억원), 국민은행(425억원), 현대자동차(367억원), 네이버클라우드(333억원) 순으로 투자액이 많았다.

대규모 고객을 관리하며 보안의 필요성이 중대한 플랫폼 및 통신사가 오히려 정보보호 투자 비중이 낮은 편이었다.

국내 플랫폼 3사 네이버, 카카오, 네이버클라우드의 지난해 IT 투자액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각각 3.5%, 4.5%, 5.1%로 일반 기업 평균(6.2%)에 못 미쳤다.

통신 3사 중에서는 최근 유심 해킹 사태를 겪은 SK텔레콤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이 4.2%로 가장 낮았다.

KT는 6.3%, LG유플러스는 7.4%였다.

이와 관련해 SK텔레콤 측은 "향후 5년간 총 7천억원 규모 정보보호 투자를 통해 국내 통신·플랫폼 기업 중 최대 정보보안 기술 수준으로 도약할 계획"이라며 "보안이 강한 회사로 거듭나 고객이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수준의 정보보호 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ic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9 12:3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