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 육종도 '디지털 시대'…효율적이고 다양한 품종 개발

김진방

입력 : 2025.07.09 14:17:29 I 수정 : 2025.07.10 10:20:43


복숭아 품종 '가원'
[농진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농촌진흥청은 국내 복숭아 육종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품종을 개발할 수 있도록 디지털 육종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9일 밝혔다.

국내 등록된 복숭아 품종 수는 202점으로 사과(97점)와 배(58점)보다 2.1배, 3.5배 많다.

그만큼 다양한 품종에 대한 요구가 높지만, 복숭아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나무 1만여 그루를 심고 돌보는 노력과 15년 이상의 긴 시간이 걸린다.

디지털 육종은 전통 육종과 달리 생명공학에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정보(데이터) 기반 육종 방법이다.

농진청 연구진은 디지털 육종을 도입하기 위해 2021∼2023년 자체 보존 중인 복숭아 유전자원 445점의 유전체를 해독하고, 94만4천670개의 유전 정보를 확보했다.

이 유전 정보에 과일 특성 평가 정보를 더해 복숭아 유전자원 445점을 대표하는 복숭아 핵심 집단 150점을 선발했다.

핵심 집단은 그 자체가 고품질 빅데이터를 생산하는 유용한 소재로 학술적 실용적 가치가 크다.

이와 함께 유전체 해독 과정에서 열매 모양을 구분하는 표지와 털 유무를 구분하는 표지 총 2개의 분자 표지도 개발했다.

분자 표지는 식물의 유전적 특징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주는 표식이다.

이를 육종에 활용하면 어린나무일 때 잎에서 유전형 정보를 분석해 모양과 털의 유무를 일찌감치 판별할 수 있다.

디지털 육종을 활용하면 나무 1천그루를 심고 3∼4년 뒤 열매가 달리고 나서야 납작한 개체를 선발하는 대신 납작 복숭아가 나올 나무를 어릴 때 골라 500그루만 심으면 된다.

농진청은 모양 판별 분자 표지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털 유무 분자 표지의 특허 출원을 준비 중이다.

김명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은 "디지털 육종 기술은 우리나라 복숭아 품종 개발 체계를 효과적으로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복숭아 핵심 집단의 다양한 형질과 연관된 분자 표지 활용이 확대되면 개성 강한 품종이 늘어 생산자와 소비자의 선택 폭이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복숭아 육종도 '디지털 시대'…효율적이고 다양한 품종 개발
[농진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china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8 12:4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