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물 뿌리고 팬 돌리고…축산농가들 가축 보호 초비상
"소가 숨을 헐떡일 정도의 폭염"…애써 기른 닭·오리 폐사 속출
김형우
입력 : 2025.07.09 14:39:45
입력 : 2025.07.09 14:39:45
(제천·단양=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사람도 지치는 데 말도 못 하는 애들은 오죽할까요"

폭염 속 축사
(제천=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의 한 한우농장 내에 설치된 대형 팬이 천장에서 돌아가고 있고, 연무소독기에선 연신 물줄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2025.7.9 vodcast@yna.co.kr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 사곡리 송화농장(3천305㎡ 규모)에서 한우 180마리를 사육하는 원장연(42)씨가 자식 같다는 소들을 안타깝게 바라봤다.
오전 10시 무렵 축사 한쪽 벽에 걸린 디지털 온도계에 숫자 '31'이 표시됐다.
푹푹 찌는 날씨에 소들도 힘겨운지 꼬리를 흔들며 연신 가쁜 숨을 몰아쉬었다.
농장의 3개 축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축사(1천800㎡)에서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팬 20개가 끊임없이 돌며 바람을 아래로 내려보냈고, 연무소독기에선 연신 물줄기가 뿜어져 나왔다.

오전인데 벌써 30.8도
(제천=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의 한 한우농장.이날 오전 10시께 축사 한쪽 벽에 걸린 디지털 온도계는 벌써 30.8도를 나타내고 있다.2025.7.9 vodcast@yna.co.kr
원래 소독을 위해 설치했지만, 더위를 식히는 스프링클러 역할도 한다고 원씨는 설명했다.
부친과 함께 축사를 운영 중인 원씨는 "어제는 그나마 비가 내려 괜찮았지만, 며칠 전엔 오후 5시께 축사 온도가 37도까지 올라갔다"며 "그때는 선풍기를 다 틀고 물을 뿌려도 소가 숨을 헐떡일 정도였다"고 혀를 내둘렀다.
무더위에 지친 소들이 먹이를 제대로 먹지 않는 것도 고민이다.
소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사료량은 약 7∼8㎏.
하지만 폭염이 지속하면 소들이 사료를 잘 안 먹어 살이 붙지 않고, 이 때문에 등급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양계농장도 초비상이다.
단양군 영춘면에서 산란계 1만3천마리를 기르는 최순철(69)씨는 요즘 더위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스프링클러를 돌리고 환기를 시키는 등 모든 노력을 기울이지만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기엔 역부족이다.
최씨는 "닭이 알을 낳으려면 체온 조절이 중요한데, 이 폭염에선 면역력부터 떨어진다"며 "먹는 양도 줄고, 알도 제대로 못 낳을까 봐 걱정"이라고 전했다.

폭염 속 육계농장
(제천=연합뉴스)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9일 낮 충북 제천시 수산면의 한 육계농장에 닭들이 사육되고 있는 모습.2025.7.9 [독자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vodcast@yna.co.kr
그의 농장에선 더위를 이기지 못한 200여마리가 폐사했다.
최씨는 "이런 경우에 대비해 농가들이 축산재해보험을 들지만 피해 두 수가 몇백 마리 수준이면 보험금을 받아봤자 남는 게 없다"고 설명했다.
허근행 대한양계협회 제천시지부 사무국장은 "기후변화로 여름철에 농가마다 소규모 폐사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재해보험의 자부담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육계 농장은 산란계 농장보다도 폭염에 더 취약하다.
높은 사육 밀도 때문인데 닭 수천 마리가 빽빽하게 들어차면 열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갇히고, 이는 폐사로 이어진다.
실제 도내에서 폭염에 따른 가축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7일까지 16개 농가가 가축 폐사(1만3천237마리) 피해 신고를 했다.
축종별 폐사 규모는 닭 1만94마리, 오리 3천28마리, 돼지 115마리이다.
충북도는 지난 7일 모든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됨에 따라 비상근무 단계를 1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했다.
vodcast@yna.co.kr(끝)

(제천=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의 한 한우농장 내에 설치된 대형 팬이 천장에서 돌아가고 있고, 연무소독기에선 연신 물줄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2025.7.9 vodcast@yna.co.kr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 사곡리 송화농장(3천305㎡ 규모)에서 한우 180마리를 사육하는 원장연(42)씨가 자식 같다는 소들을 안타깝게 바라봤다.
오전 10시 무렵 축사 한쪽 벽에 걸린 디지털 온도계에 숫자 '31'이 표시됐다.
푹푹 찌는 날씨에 소들도 힘겨운지 꼬리를 흔들며 연신 가쁜 숨을 몰아쉬었다.
농장의 3개 축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축사(1천800㎡)에서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팬 20개가 끊임없이 돌며 바람을 아래로 내려보냈고, 연무소독기에선 연신 물줄기가 뿜어져 나왔다.

(제천=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9일 오전 충북 제천시 금성면의 한 한우농장.이날 오전 10시께 축사 한쪽 벽에 걸린 디지털 온도계는 벌써 30.8도를 나타내고 있다.2025.7.9 vodcast@yna.co.kr
원래 소독을 위해 설치했지만, 더위를 식히는 스프링클러 역할도 한다고 원씨는 설명했다.
부친과 함께 축사를 운영 중인 원씨는 "어제는 그나마 비가 내려 괜찮았지만, 며칠 전엔 오후 5시께 축사 온도가 37도까지 올라갔다"며 "그때는 선풍기를 다 틀고 물을 뿌려도 소가 숨을 헐떡일 정도였다"고 혀를 내둘렀다.
무더위에 지친 소들이 먹이를 제대로 먹지 않는 것도 고민이다.
소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사료량은 약 7∼8㎏.
하지만 폭염이 지속하면 소들이 사료를 잘 안 먹어 살이 붙지 않고, 이 때문에 등급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양계농장도 초비상이다.
단양군 영춘면에서 산란계 1만3천마리를 기르는 최순철(69)씨는 요즘 더위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스프링클러를 돌리고 환기를 시키는 등 모든 노력을 기울이지만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기엔 역부족이다.
최씨는 "닭이 알을 낳으려면 체온 조절이 중요한데, 이 폭염에선 면역력부터 떨어진다"며 "먹는 양도 줄고, 알도 제대로 못 낳을까 봐 걱정"이라고 전했다.

(제천=연합뉴스)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9일 낮 충북 제천시 수산면의 한 육계농장에 닭들이 사육되고 있는 모습.2025.7.9 [독자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vodcast@yna.co.kr
그의 농장에선 더위를 이기지 못한 200여마리가 폐사했다.
최씨는 "이런 경우에 대비해 농가들이 축산재해보험을 들지만 피해 두 수가 몇백 마리 수준이면 보험금을 받아봤자 남는 게 없다"고 설명했다.
허근행 대한양계협회 제천시지부 사무국장은 "기후변화로 여름철에 농가마다 소규모 폐사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재해보험의 자부담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육계 농장은 산란계 농장보다도 폭염에 더 취약하다.
높은 사육 밀도 때문인데 닭 수천 마리가 빽빽하게 들어차면 열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갇히고, 이는 폐사로 이어진다.
실제 도내에서 폭염에 따른 가축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7일까지 16개 농가가 가축 폐사(1만3천237마리) 피해 신고를 했다.
축종별 폐사 규모는 닭 1만94마리, 오리 3천28마리, 돼지 115마리이다.
충북도는 지난 7일 모든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됨에 따라 비상근무 단계를 1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했다.
vodcast@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천피가 불 제대로 지폈다”...개미 주식계좌 한 달새 100만개 늘었다
-
2
[샷!] '휠체어·유모차도 쓱~'…모두를 위한 집
-
3
뉴욕증시, 관세 불안 진정시킨 소비 지표…강세 마감
-
4
젠슨 황 다녀갔다, 이젠 오를 일만 남았다…뜨거운 중국판 M7
-
5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법안 美 상하원 통과…트럼프 서명만 남겨
-
6
"차정비 맡겼는데 손상"…피해구제 신청 10건 중 7건 '정비불량'
-
7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8
[서미숙의 집수다] "법 개정 없이도 보유세 올린다?"…공시가 현실화율 향배는
-
9
롯데마트, 여수 앞바다에 잠수부 투입해 수중 폐기물 수거
-
10
“집값 잡자고 낸 대책인데”…대출 규제 이후 전세퇴거대출 93%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