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불확실성 확대에…통계청, AI 동원해 추계한다

출산·사망·국제이동 변수에 사회·경제 요인까지 반영
송정은

입력 : 2025.07.10 06:07:00



(서울=연합뉴스) = 27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2025 마이비 마곡 베이비페어&유아교육전'에서 방문객들이 육아용품을 살펴보고 있다.2025.3.27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통계청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인구 추계 정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10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통계청은 지난달 이런 내용의 'AI 활용 인구추계 방법론 연구' 용역을 공고했다.

이번 연구는 AI를 활용한 인구추계 방법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해외 사례를 분석해, 궁극적으로 AI 기반 장래인구추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기본적인 인구변동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까지 고려한 모형 개발을 추진한다.

가령 결혼 건수와 추세를 반영해 미래 출생아 수를 추계하는 식이다.

통계청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인구변동 요인 추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인구 변동을 전망하는 '장래인구추계'를 2∼3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9년 만에 합계출산율이 반등하고 코로나19 여파로 기대수명이 감소하는 등 인구 변동 요인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내·외국인의 국제순이동 변동 폭도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AI를 활용해 전통적인 통계모형이 포착하지 못하는 변수까지 반영하고 추계 예측력을 높이려는 것이다.

통계청이 2023년 12월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중위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68명, 올해 0.65명으로 전망됐다.

실제로는 혼인 건수가 늘면서 출생아 수가 증가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고, 올해는 0.80명까지 오를 가능성이 정부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래픽] 출생아 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출생아 수는 2만717명으로 1년 전보다 1천658명(8.7%) 증가했다.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X(트위터) @yonhap_graphics

sj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9 09:1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