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 러시아 제재 유예에 공급 우려 완화…WTI 0.7%↓
국제뉴스공용1
입력 : 2025.07.16 04:05:55
입력 : 2025.07.16 04:05:55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연합인포맥스 기자 = 국제유가가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해 50일간의 제재 유예 기간을 부여하자, 공급 위축 우려가 진정됐다.

미국 오클라호마주 쿠싱 원유 저장 시설
[연합뉴스 자료제공]
1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46달러(0.69%) 하락한 배럴당 66.5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물은 0.50달러(0.72%) 내린 68.71달러에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향후 50일 이내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정이 없을 경우, 러시아에 대해 100%의 2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물론, 러시아와 교역하는 국가들에 100%의 관세를 물린다는 이야기다.
이 같은 조치는 러시아산 원유 수출이 당장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일정 부분 완화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50일이 그리 길지 않다고 생각하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이) 그보다 더 빨리 성사될 수 있다"고 낙관했다.
또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미사일을 보낼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니다.
그렇게 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했다.
UBS의 상품 지오반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즉각적인 제재를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50일이라는 시한을 쥐여주면서 그러한 공포가 줄어들었다"며 "현재 시장의 핵심 변수는 바로 그 점"이라고 설명했다.
ING는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제재를 단행할 경우 유가 시장의 전망은 급격히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인도, 터키는 러시아 원유의 주요 수입국이며, 이들은 미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러시아산 원유의 할인 혜택과 미국과의 무역 손실을 저울질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제의 불확실성도 유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 중국의 성장률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2%로 시장 전망치(5.1%)는 상회했지만, 1분기(5.4%)보다는 둔화했다.
IG의 토니 시카모어 애널리스트는 "2분기 성장이 예상을 상회한 것은 강한 재정 부양과 미국 관세를 피하려는 수출 선반영 효과에 힘입은 것"이라며 "(성장 둔화는) 원자재 시장, 특히 철광석과 원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 신호"라고 말했다.
yxj111330@yna.co.kr(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해 50일간의 제재 유예 기간을 부여하자, 공급 위축 우려가 진정됐다.

[연합뉴스 자료제공]
1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46달러(0.69%) 하락한 배럴당 66.5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물은 0.50달러(0.72%) 내린 68.71달러에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향후 50일 이내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정이 없을 경우, 러시아에 대해 100%의 2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물론, 러시아와 교역하는 국가들에 100%의 관세를 물린다는 이야기다.
이 같은 조치는 러시아산 원유 수출이 당장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일정 부분 완화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50일이 그리 길지 않다고 생각하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이) 그보다 더 빨리 성사될 수 있다"고 낙관했다.
또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미사일을 보낼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니다.
그렇게 할 생각은 없다"고 일축했다.
UBS의 상품 지오반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즉각적인 제재를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50일이라는 시한을 쥐여주면서 그러한 공포가 줄어들었다"며 "현재 시장의 핵심 변수는 바로 그 점"이라고 설명했다.
ING는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제재를 단행할 경우 유가 시장의 전망은 급격히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인도, 터키는 러시아 원유의 주요 수입국이며, 이들은 미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러시아산 원유의 할인 혜택과 미국과의 무역 손실을 저울질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제의 불확실성도 유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 중국의 성장률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2%로 시장 전망치(5.1%)는 상회했지만, 1분기(5.4%)보다는 둔화했다.
IG의 토니 시카모어 애널리스트는 "2분기 성장이 예상을 상회한 것은 강한 재정 부양과 미국 관세를 피하려는 수출 선반영 효과에 힘입은 것"이라며 "(성장 둔화는) 원자재 시장, 특히 철광석과 원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 신호"라고 말했다.
yxj111330@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가상화폐 법안 제동…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일제히 급락
-
2
사피엔반도체(452430) 소폭 상승세 +3.07%
-
3
업비트, 보안 인재 채용 연계 플랫폼 ‘업사이드 링크’ 오픈
-
4
美 가상자산 3법 통과 난항에 비트코인 118K선 후퇴 [매일코인]
-
5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6
대신증권, 미국주식 소수점 투자 더블 혜택 이벤트
-
7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 전체 해외주식형 ETF 중 수익률 1위
-
8
[MK시그널] 그레이트 레이크 드레지&독 매도신호 포착, 수익률 20.6% 달성
-
9
빗썸, KB증권과 ‘슈퍼 리워드 이벤트
-
10
NH-Amundi ‘하나로 TDF’, 5년 수익성·안정성 최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