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감도와 딴판인 창원 '빅트리' 시의회도 여야 모두 우려
국힘 이정희·민주 박해정 잇단 5분 발언…"공공조형물 심의 강화해야"
김선경
입력 : 2025.07.17 11:00:03
입력 : 2025.07.17 11:00:03

[창원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의 랜드마크로 기대를 모은 초대형 전망대 '빅트리'가 조감도와 딴판인 모습으로 설치돼 지역사회에 실망을 안겨준 것과 관련해 창원시의회에서 공공조형물 심의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시의회 국민의힘 이정희 의원은 17일 제14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빅트리는 특례사업 제안 초기부터 대상공원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싱가포르의 '슈퍼트리'를 무리하게 벤치마킹하며 잘못된 방향으로 출발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미 2019년부터 전문가들은 빅트리에 대해 '경관상 오히려 역효과가 우려된다'는 등 회의적인 의견을 수차례 제기했지만, 시는 충분한 검토 없이 2022년 4월 공사를 시작했다"며 "2023년 11월 빅트리 상부 디자인 변경에 대한 자문회의가 열렸지만, 당시 전문가들은 공정률이 35%에 이른 시점에서 뒤늦게 디자인 변경을 논의하는 상황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4년에는 디자인을 두고 두 차례나 경관위원회 자문과 심의가 있었지만 '창원의 상징성도 없고 미관상 아름답지도 않다'는 등 결론은 같았다"며 "그러나 이미 구조물 설치가 진행 중이어서 경관위원회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상부 구조물을 비워두자는 결론에 이를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위원들은 시민 공모나 소통의 필요성도 언급했지만, 시는 '준공 일정상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며 "반복된 전문가의 경고에도 왜 방향을 바꾸지 않았는지 궁금하다.
빅트리 문제는 처음부터 잘못된 계획, 행정의 일방성, 형식적인 절차, 시민 소통 부재, 이 모든 문제가 집약된 결과"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게 앞으로 추진되는 모든 공공조형물 사업에 주민 참여를 제도화하고, 전문가 자문이 계획과 실행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해정 의원도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빅트리가 시민들로부터 '흉물'이라며 조롱의 대상이 됐다"며 "단순한 미관 문제를 넘어 창원시 공공사업 추진 체계의 근본적인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안"이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빅트리 시공사는 착공 이듬해인 2023년 조형물의 계획 변경을 제안했고, 시공사의 이런 제안에 도시공원위원회는 2023년 11월 당초 안대로 추진하기로 결정했지만 2024년 5월 경관위원회는 상층부 소나무 형상 제거를 최종 승인했다"며 "당초 계획이 번복되는 과정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기존 구조물을 최대한 활용하되 경관 전문가 그룹에 자문해 창원시민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조형물로 재탄생시켜야 한다"며 "특히 시민 의견 수렴 등을 통해 투명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공공조형물 심의 과정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중요 변경사항에 대해서는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의무화하는 것과 더불어 심의위원들의 책임성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ks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