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계 맺은 파키스탄·엘살바도르 "가상화폐 협력 강화"

유창엽

입력 : 2025.07.17 11:23:24


미국 비트코인 ATM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최근 가상화폐에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파키스탄과 '친(親) 가상화폐 국가'를 표방하는 중미 엘살바도르가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가상화폐와 관련한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17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빌랄 빈 사키브 파키스탄 가상화폐협의회 회장 겸 파키스탄 총리 특별보좌관이 전날 엘살바도르에서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과 만나 외교관계를 맺었다.

파키스탄 정부는 성명을 통해 양국이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과 관련한 전문지식 공유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움직임은 파키스탄에서 최근 들어 가상화폐에 대한 열기가 드높아지기 시작한 가운데 나온 것이다.

다만 파키스탄은 국제통화기금(IMF) 차관을 받는 상황이어서 가상화폐 시장 참여 등과 관련해 IMF 조건 준수라는 제약을 받고 있다.

2023년 국가부도를 면한 파키스탄은 지난해 IMF로부터 70억달러(약 9조7천억원)의 차관을 제공받기로 했다.

차관 공여는 2027년까지 이어진다.

인구 2억5천만여명으로 세계 5위인 파키스탄에선 1천500만∼2천만명이 가상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키스탄 정부는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2천메가와트(MW)의 전력을 배정한 데 이어 국립 비트코인 저장소도 건립할 계획이다.

이런 조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직후 가상화폐 진흥을 위한 행정명령을 내린 데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엘살바도르도 IMF 차관을 받는 상황에서 가상화폐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IMF는 당초 부켈레 대통령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활동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견해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부켈레 정부는 가상화폐 매입 중단을 요구하는 조건이 달린 차관 도입 계약을 IMF와 맺고 난 뒤에도 비트코인을 여전히 매입하고 있다고 지난 4월 밝힌 바 있다.

엘살바도르는 현재 시가 7억4천500만달러(약 1조400억원) 어치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부켈레 대통령은 2021년 9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도입하는 등 자국을 가상화폐 중심지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yct9423@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9 08: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