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도부, 또 '내수 진작' 강조…"불합리한 소비 제약 철폐"

서열 2·4위 잇따라 대책 주문…전기차업계 겨냥 "비이성적 경쟁 단속"
정성조

입력 : 2025.07.17 11:54:37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신화 연합뉴스]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당국이 내수 진작을 위해 '불합리한 소비 제약'을 없애고, 최근 국가적 문제로 떠오른 전기차업체들의 출혈 경쟁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1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전날 리창 총리(공식 서열 2위) 주재로 열린 국무원 상무위원회는 "소비를 제약하는 불합리한 제한을 체계적으로 없애고, 소비재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 지원) 정책을 개선하며, 소비 수요에 맞춰 다원화된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상무위는 또 "신품질 생산력과 신흥 서비스업 등 영역 투자를 확대하고, 내수 잠재력이 충분히 풀리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왕후닝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공식 서열 4위) 역시 전날 베이징에서 '전방위 내수 확대 조사·연구 협상 좌담회'를 열고 상공업계 인사들을 향해 "내수 확대의 중요 문제를 둘러싸고 더 많은 심화·세부화·구체화한 연구 성과를 만들고, 성과를 업무에 잘 응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5% 안팎'의 성장률 목표를 설정했으나 대외적으로는 미국과의 무역 갈등, 대내적으로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내수 침체 문제가 걸림돌로 지목돼왔다.

이에 중국 당국은 작년부터 소비재와 생산설비 신제품 교체 정책 등 내수 진작 정책을 추진해왔고, 올해 3월 열린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선 내수 촉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15일 발표된 올해 상반기 경제 성적표에서 내수 회복은 기대에 못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의 관세 전쟁 속에 수출 물량이 앞당겨지면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시장 예상을 웃도는 5.3%를 기록했으나, 6월 소매 판매는 4.8% 증가에 그쳐 전월(6.4%)보다 낮았고 시장 전망치(5.4%)도 밑도는 등 내수 회복에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국 지도부는 최근 논란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국 자동차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과열 저가 경쟁 등 문제를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도 거듭 밝혔다.

국무원 상무위원회는 "신에너지차 산업 영역에 나타난 각종 비이성적인 경쟁 현상에 대해 거시·미시를 결합하고 정책을 종합해 신에너지차 산업 경쟁의 질서를 실질적으로 규범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무위는 또 "비용 조사와 가격 모니터링, 제품 생산의 일치성 감독·검사를 강화하고, 중점 자동차기업이 (하청 업체들에 대한) 대금 지급 약속을 이행하도록 감독해야 한다"며 "경쟁을 규범화하는 장기적 메커니즘을 완비하고, 업계 자율성을 강화해 기업이 과학·기술 혁신과 품질 제고 등으로 경쟁력을 높이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xi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9 09: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