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가계 순자산 2억5천251만원, 3.3%↑…日보다 많아
주택 4%·금융 5%↑…가계순자산 내 부동산 비중 75.4→74.6%국민순자산 5.3% 증가…해외주식투자 호조에 순금융자산 증가폭 역대최대
신호경
입력 : 2025.07.17 12:00:00
입력 : 2025.07.17 12:00:00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주택 가격이 오르고 예금 등 금융자산도 불어나면서 1인당 평균 가계순자산이 3% 이상 늘었다.
가계뿐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경제주체가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도 해외 증시 호조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으로 해외 투자 이익 규모가 커지면서 5% 넘게 증가했다.
◇ 한은 "구매력 고려하면 1인당 가계순자산 영국도 웃돌아" 한은과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5천251만원으로 추정됐다.
2023년 말(2억4천450만원)과 비교해 3.3% 많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3천68조원)을 추계 인구(약 5천175만명)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4년 중 1천363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5천달러로, 미국(52만1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40만1천달러)·캐나다(29만5천달러)·프랑스(23만달러)·영국(20만6천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달러)보다는 많았다.
2022년 처음 일본을 앞지른 뒤 3년 연속 우위를 유지했다.
구매력평가환율(2024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7만1천달러)이 일본(24만8천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3천달러)도 앞섰다.
이 기준의 우리나라 1인당 가계 순자산은 앞서 각 2019년, 2021년 일본과 영국을 추월한 뒤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미국(52만1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41만5천달러)·캐나다(33만8천달러)·독일(30만8천달러)·프랑스(27만6천달러)는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독일·프랑스·영국·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3년 말 기준으로, 직접 비교에 다소 무리가 있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가계·비영리단체 순자산 중 현금·예금 19.4%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3천68조원)은 전년보다 1.8%(424조원) 불었다.
집값 상승 등으로 4.1%(264조원) 늘어난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2.2%(215조원) 증가했고, 현금·예금과 보험·연금이 각 5.1%(122조원), 8.3%(121조원) 불어나면서 금융자산도 5.1%(263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작년 말 현재 ▲ 주택 50.9% ▲ 주택 이외 부동산 23.7% ▲ 현금·예금 19.4% ▲ 보험·연금 12.1% 순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전체 부동산의 비중은 2023년 말 75.4%에서 지난해 말 74.6%로 떨어졌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작년 주택시가총액 상승 기여도, 수도권이 91%로 압도적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4천105조원으로, 전년보다 5.3%(1천217조원) 증가했다.
증가율이 2023년(1.3%)보다 높아졌지만, 작년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천557조원) 대비 배율은 9.4배로 2023년 말(9.5배)보다 떨어졌다.
명목 GDP 증가율(6.2%)이 국민순자산 증가율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명목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21년(9.9배) 이후 계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국민순자산 가운데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2.6%(431조원) 많은 1경7천165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이 오르면서 주택시가총액(7천158조원)은 4.2% 늘었다.
3년 만의 반등이다.
하지만 권역별 증가율 기여도는 수도권(3.8%p)과 비수도권(0.4%p)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전체 증가율의 90.6%를 수도권이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주택시가총액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67.7%에서 68.7%로 1%포인트(p) 커졌다.
남민호 한은 국민B/S팀장은 국민순자산 증가세 확대와 관련해 "토지가격 상승 전환 등으로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늘어난 데다 해외 주식시장 호조와 환율 상승 등으로 금융자산도 급증했기 때문"이라며 "2024년 중 순금융자산 증가 폭은 582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택배업체서 상하차 작업 30대 차에 치여 심정지
-
2
전세사기 피해자 2000명, 추가 구제 길 열려…우선변제 기준 바꾼다
-
3
[부동산캘린더] 내주 부산 '르엘 리버파크 센텀' 등 7천956가구 분양
-
4
[이지사이언스] 양 창자에서 고분자까지 '녹는 실'의 대변신
-
5
부천시, 국내외 6개 도시와 관광지 입장료 상호 할인
-
6
[머니플로우] 美주식 '대세론' 재부상…보관액 183조원 역대최고
-
7
[길따라] 방울토마토 몇 알에 160만원…호주 여행 '벌금 폭탄' 주의보
-
8
유흥식 추기경, DMZ 방문 추진…유엔사 불허로 무산
-
9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
10
초복 앞 보신탕 골목은 한산…"폐업도 쉽지않아" 업주들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