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은 비트코인 하락의 달? 역사적 하락 통계 vs 현재 강세 분위기, 어디에 베팅할까[엠블록레터]
김용영 엠블록컴퍼니 기자(yykim@m-block.io)
입력 : 2025.07.30 10:35:21
입력 : 2025.07.30 10:35:21

[엠블록레터] 상반기 10만달러에서 등락을 거듭했던 비트코인이 하반기, 그러니까 7월 들어 확 바뀌었습니다. 사상 최고가를 거듭 경신하더니 11만달러 후반대에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올해 비트코인 목표가로 대다수 전문가들이 20만달러를 제시한 가운데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상승세입니다.
하지만 8월을 앞둔 현재에는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하락 반전할지에 대한 공방이 팽팽합니다. 잘 오르고 있는데 갑자기 웬 하락 반전이냐구요? 비트코인이 8월에는 역사적으로 하락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최근 12년간을 봤을 때 4년은 상승하고 8년은 하락했습니다. 평균 수익률을 내봐도 -8.3%여서 하락에 무게가 실립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최근 기세만 보면 좀처럼 하락할 것 같지 않습니다. 미국 상장사들 사이에서는 비트코인 사모으기가 붐을 일으키고 있구요.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한 매수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분위기에 무게를 둬야 할까요? 역사적인 통계치에 무게를 둬야 할까요?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분위기 무르익은 비트코인, 관건은 유동성

비트코인의 7월 강세에는 기관 투자자들의 대량 매수가 주 요인으로 해석됩니다. 이들은 ETF를 통해 주로 매수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연초에는 사상 최고가 경신에 대한 부담으로 매도 우위를 보였지만 4월말부터 비트코인이 추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매수로 돌아섰습니다. 비트코인 가격도 4월 한때 7만달러까지 떨어진 이후 우상향으로 방향을 잡았구요. 이달 말 들어 ETF 매수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상승 추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이른바 트럼프 코인 3법이 다수의 진통 끝에 통과된 것이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시장 구조화,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금지 3법이 통과될 것으로 예상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 법들은 특히 전통 금융과 가상자산간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가상자산의 신인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전통 투자자본의 유입이 그래서 높아지고 있는 것이구요.
이처럼 좋은 분위기의 비트코인이 앞으로도 계속 오르기 위한 동력으로는 유동성이 꼽힙니다 .네, 금리 인하죠. 트럼프 행정부와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간의 힘겨루기가 계속되지만 금리 인하는 올해 어떤 식으로든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에는 최근 분위기에 추가적으로 호재가 될 것이구요. 만약 이를 둘러싼 부정적인 사건이 생긴다면 상승세에 타격을 가하는 악재로 작용할 것입니다.
역사적, 통계적 하락이 조정의 빌미로 작용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지난해 대비 급등한 점 때문에 조정에 대한 우려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습니다. 이 또한 그저 우려로 치부할 만한 것들이 아니구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시장 심리가 그만큼 더 중요한데 이처럼 조정 목소리가 높아지면 아무래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현재 ETF 매수에 나서는 기관 투자자들의 다수가 헤지펀드로 추정되는 점도 시장 심리의 영향력을 높입니다. 비트코인 ETF를 이용하는 다수의 기관들은 선물과 현물간의 가격차를 이용하는 차익 거래를 하는 것으로 풀이되구요. 이런 형태의 거래는 단기간에 이뤄지는 만큼 역시 시장 심리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비트코인이 8월에는 계속해서 조정을 받아왔다는 것은 단기 투자자들에게는 매도에 나설 좋은 명분이 되는 거죠. 8월 한달간 바닥 다지기를 통해 시장 분위기를 가라앉히고 조정을 통해 좀 더 유리한 매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기관 투자자들에게는 나쁘지 않은 방향입니다.
이를 종합해보면 아무래도 8월 비트코인은 단기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기에는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습니다. 당연히 단기 변동성도 높아지고 때에 따라서는 상당한 하락을 보일 수도 있을 것 같구요. 하지만 연말 20만달러 목표치는 현재 어느 금융 기관에서도 조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20만달러 도달을 위해 힘을 비축하는 시기로도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비트코인 투자에 나섰다면 비중을 줄이고 좀 더 유리한 매수 지점을 탐색해봐도 좋겠구요. 장기 투자자라면 연말 상승에 대한 믿음으로 변동성으로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가상자산 시장의 현 분위기가 한달 내에 차갑게 식진 않을 것 같으니까요.
김용영 엠블록 에디터(yykim@m-block.io), 전성아 엠블록 연구원(jeon.seonga@m-block.io)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50% 美관세' 목전 브라질 룰라 "미국에 끌려다니진 않을 것"
-
2
구글 딥마인드, 지구 더 정확히 매핑·모니터링하는 AI모델 공개
-
3
달러-원, 美 성장률 큰폭 반등에 상승폭 확대…1,390원 돌파
-
4
[1보] 美 기준금리 4.25~4.50%로 또 동결…한미금리차 2.0%p 유지
-
5
[속보] 트럼프 압박에도…연준 5연속 금리동결
-
6
[속보] 美 금리동결에 연준위원 2명 0.25%p 인하 요구하며 반대
-
7
[2보] 美기준금리 4.25~4.50%로 5연속 동결…한미금리차 2.0%p 유지
-
8
트럼프 "中과 공정한 무역 합의 예상…인도는 계속 협상 중"
-
9
[속보] 연준 2명 금리인하 주장하며 동결에 반대…32년만에 처음
-
10
美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기준금리 4.25~4.50%로 5연속 동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