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배송작전' 통해 워싱턴으로 공수한 '마스가' 모자
김용범 정책실장 방송서 공개…산업부, 제작·공수 과정 소개
김동규
입력 : 2025.08.03 18:04:50 I 수정 : 2025.08.03 18:39:43
입력 : 2025.08.03 18:04:50 I 수정 : 2025.08.03 18:39:43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대통령실이 3일 공개한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모자.'마스가'는 이번 한미관세협상 때 조선 분야 협력 내용을 압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만든 슬로건으로 한국협상단은 이 모자와 대형 패널 등을 준비했다.2025.8.3 xyz@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의 돌파구를 마련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각인시키기 위해 '마스가 모자'를 제작해 미국으로 긴급 공수한 과정이 3일 공개됐다.
한미 관세 협상을 진두지휘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사실 조선이 없었으면 협상이 평행선을 달렸을 것"이라며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 제안이 이번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이날 스튜디오에 '마스가 모자' 실물을 가져가 공개하며 이같이 설명했다.
김 실장은 "우리가 디자인해서 미국에 10개를 가져갔다"며 "이런 상징물을 만들 정도로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 강조했다.

[KBS 일요진단 방송화면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는 마스가 모자는 산업부 조선해양플랜트과 직원들의 아이디어로 6월 초부터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협상에서 중요한 카드로 제시할 한미 조선 협력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마스가' 슬로건을 만든 산업부 직원들이 이를 각인시키기 위해 한 장의 그림과 함께 마스가 모자도 미리 제작해 준비했다는 것이다.
애초 마스가 모자는 3∼4개의 시안이 있었으나 논의 끝에 붉은색 모자 위에 성조기와 태극기를 배치하고, 흰색 실로 글씨를 새긴 현재 디자인으로 결정했다.
골프를 좋아하고 빨간색 모자를 즐겨 쓰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을 고려한 것이었다.
모자 시안을 만든 후 산업부 실무자들은 섬유 업체가 밀집한 서울 동대문에 있는 업체를 직접 찾아 수소문하며 모자 제작에 나섰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나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시한 뒤 협상이 진전되자 현지에서 마스가 모자를 급히 찾았고, 국내에서는 모자를 미국으로 긴급 공수하기 위한 '작전'이 펼쳐졌다.
산업부 실무진은 마스가 모자가 24시간 안에 도착해야 한다'는 현지 요청에 대한항공과 긴밀히 협의하며 밀봉한 마스가 모자 10개를 들고 인천공항을 찾아 워싱턴발 비행기에 실었다.
직원들의 노력으로 마스가 모자는 다음날 무사히 현지 협상팀 손에 들어갈 수 있었다.
dk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