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서비스업까지 번진 관세 여파…하락 마감
국제뉴스공용1
입력 : 2025.08.06 05:50:20
입력 : 2025.08.06 05:50:20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미국 서비스업 업황이 관세 여파로 악화했다는 소식에 투자심리도 위축됐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포인트(0.14%) 내린 44,11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75포인트(0.49%) 떨어진 6,299.19, 나스닥종합지수는 137.03포인트(0.65%) 하락한 20,916.55에 장을 마쳤다.
미국 서비스업 경기가 확장 국면은 지켰으나 확장 속도는 느려졌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6월의 50.8에서 0.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확장세는 유지했지만 겨우 '턱걸이'한 셈이다.
시장 예상치 51.5 또한 밑돌았다.
특히 PMI 하위 지수 중 가격 지수가 69.9로 전월보다 2.4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10월의 70.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원자재 및 서비스 투입비용 전반에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의미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축이다.
제조업 PMI가 이미 위축 국면에 진입했지만, 증시가 강세 흐름을 이어왔던 것은 서비스업 업황이 여전히 호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비스업마저 위축 흐름으로 돌아서면 증시는 주요 상승 동력 중 하나를 잃게 된다.
BMO캐피털마켓의 스콧 앤더슨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7월 ISM 서비스 보고서는 실망스럽고 끔찍했다"며 "스태그플레이션 영향은 이미 예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서비스 부문을 뒤흔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급반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도 나온 것으로 보인다.
7월 미국 비농업 고용 보고서의 충격을 고려하면 전날 급반등은 다소 성급했다는 인식도 있었다.
US뱅크자산운용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 전략가는 "당분간 조정 국면이 예상되고 일부 지지와 매도 물량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며 "밸류에이션은 높고 저렴한 상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다음 주 발표할 것이라고 말한 점도 위험 회피 심리를 자극했다.
트럼프는 "처음에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최대 1년 반 뒤에는 150%로 올리고, 이후에는 250%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가 1% 이상 떨어졌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아마존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미국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2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7% 이상 뛰었다.
미국 칩 제조업체 AMD는 이날 장 마감 후 예상에 못 미친 순이익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4% 이상 떨어지고 있다.
AMD는 2분기 매출이 76억9천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48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매출 74억2천만달러, EPS는 0.49달러였다.
소셜미디어 스냅챗을 운영하는 스냅은 2분기 EPS가 0.16달러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한 뒤 주가가 15% 이상 급락했다.
매출 또한 13억4천만달러로 시장 예상치 13억5천만달러에 미달했다.
미국 산업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하는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도 2분기 매출은 예상을 웃돌았으나 EPS가 밑돌았다.
관세 여파가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금리인하 기대감은 다소 약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을 45.8%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53.1%에서 낮아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33포인트(1.88%) 오른 17.85를 기록했다.
jhjin@yna.co.kr(끝)
미국 서비스업 업황이 관세 여파로 악화했다는 소식에 투자심리도 위축됐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포인트(0.14%) 내린 44,11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75포인트(0.49%) 떨어진 6,299.19, 나스닥종합지수는 137.03포인트(0.65%) 하락한 20,916.55에 장을 마쳤다.
미국 서비스업 경기가 확장 국면은 지켰으나 확장 속도는 느려졌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6월의 50.8에서 0.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확장세는 유지했지만 겨우 '턱걸이'한 셈이다.
시장 예상치 51.5 또한 밑돌았다.
특히 PMI 하위 지수 중 가격 지수가 69.9로 전월보다 2.4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10월의 70.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원자재 및 서비스 투입비용 전반에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의미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축이다.
제조업 PMI가 이미 위축 국면에 진입했지만, 증시가 강세 흐름을 이어왔던 것은 서비스업 업황이 여전히 호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비스업마저 위축 흐름으로 돌아서면 증시는 주요 상승 동력 중 하나를 잃게 된다.
BMO캐피털마켓의 스콧 앤더슨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7월 ISM 서비스 보고서는 실망스럽고 끔찍했다"며 "스태그플레이션 영향은 이미 예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서비스 부문을 뒤흔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급반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도 나온 것으로 보인다.
7월 미국 비농업 고용 보고서의 충격을 고려하면 전날 급반등은 다소 성급했다는 인식도 있었다.
US뱅크자산운용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 전략가는 "당분간 조정 국면이 예상되고 일부 지지와 매도 물량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며 "밸류에이션은 높고 저렴한 상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다음 주 발표할 것이라고 말한 점도 위험 회피 심리를 자극했다.
트럼프는 "처음에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최대 1년 반 뒤에는 150%로 올리고, 이후에는 250%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가 1% 이상 떨어졌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아마존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미국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2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7% 이상 뛰었다.
미국 칩 제조업체 AMD는 이날 장 마감 후 예상에 못 미친 순이익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4% 이상 떨어지고 있다.
AMD는 2분기 매출이 76억9천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48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매출 74억2천만달러, EPS는 0.49달러였다.
소셜미디어 스냅챗을 운영하는 스냅은 2분기 EPS가 0.16달러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한 뒤 주가가 15% 이상 급락했다.
매출 또한 13억4천만달러로 시장 예상치 13억5천만달러에 미달했다.
미국 산업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하는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도 2분기 매출은 예상을 웃돌았으나 EPS가 밑돌았다.
관세 여파가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금리인하 기대감은 다소 약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을 45.8%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53.1%에서 낮아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33포인트(1.88%) 오른 17.85를 기록했다.
jhji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전일 2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8.05 발표)
-
2
HD현대인프라코어, 314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
-
3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4
카카오뱅크, 25년2분기 별도 영업이익 1,701.27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
-
5
뉴키즈온,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6
당일 2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8.06 발표 예정)
-
7
리튬포어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8
리튬포어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2분기, 2025.08.06 기준, 연결) -2
-
10
“카카오페이, 투자·보험 고성장…내년까지 영업이익 고성장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