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발 서비스업 침체 경고음 켜졌다...팔란티어는 8% 폭등 [월가월부]
홍성용 기자(hsygd@mk.co.kr)
입력 : 2025.08.06 06:42:31
입력 : 2025.08.06 06:42:31
美 ISM 7월 PMI 50.1로 턱걸이
시장 예상치 밑돌고, 서비스업 위축
스태그플레이션 초래 우려 커져
“당분간 조정국면 온다” 분석도 나와
시장 예상치 밑돌고, 서비스업 위축
스태그플레이션 초래 우려 커져
“당분간 조정국면 온다” 분석도 나와

글로벌 경제를 강타하고 있는 관세 무역 전쟁에 서비스업 경기가 악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미국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2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8% 가까이 뛰었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포인트(0.14%) 내린 4만4111.74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0.75포인트(0.49%) 하락한 6299.19를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137.03포인트(0.65%) 떨어진 2만0916.55에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 서비스업 경기가 확장 국면은 지켰으나 확장 속도가 느려진 지표의 영향을 받았다.
이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6월의 50.8에서 0.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확장세는 유지했지만 겨우 ‘턱걸이’한 셈이다. 시장 예상치 51.5를 밑돌았다.
PMI는 경제활동의 현재 상태와 미래 전망을 가늠하는 핵심 선행지표다. 이 지수는 기업의 구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며, 50을 기준선으로 50 이상이면 전월과 비교해 개선된 수준의 ‘경기 확장’으로 보고, 50 이하면 전월 대비 악화한 ‘경기 위축’으로 본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축이다. 제조업 PMI가 이미 위축 국면에 진입했지만, 증시가 강세 흐름을 이어왔던 것은 서비스업 업황이 여전히 호조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서비스업마저 위축 흐름으로 돌아서면서 증시는 상승 동력을 잃을 수 있게 됐다.
고용 사정이 뚜렷하게 악화한 가운데 관세 정책이 스태그플레이션(경기둔화 속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BMO캐피털마켓의 스콧 앤더슨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7월 ISM 서비스 보고서는 실망스럽고 끔찍했다”며 “스태그플레이션 영향은 이미 예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서비스 부문을 뒤흔들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US뱅크자산운용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 전략가도 “당분간 조정 국면이 예상되고 일부 지지와 매도 물량 확보가 필요해 보인다”며 “밸류에이션은 높고 저렴한 상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같은 지표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다음 주중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지점도 증시 하방 압력을 자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처음에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최대 1년 반 뒤에는 150%로 올리고, 이후에는 250%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나홀로 상승을 기록한 것은 팔란티어였다. 사상 첫 10억달러 매출 돌파와 함께 최대 분기 실적을 내놓은 팔란티어는 7.85% 상승 마감했다.
미국 칩 제조업체 AMD는 이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내놨는데, 예상에 못 미치는 순이익을 발표해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급락했다.
43만 구독자의 선택. 유튜브 채널 ‘매경 월가월부’(youtube.com/@MK_Invest)에서 진짜 미국 월가 투자 뉴스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전일 2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8.05 발표)
-
2
HD현대인프라코어, 314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
-
3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4
카카오뱅크, 25년2분기 별도 영업이익 1,701.27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
-
5
뉴키즈온,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6
당일 2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8.06 발표 예정)
-
7
리튬포어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8
리튬포어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2분기, 2025.08.06 기준, 연결) -2
-
10
“카카오페이, 투자·보험 고성장…내년까지 영업이익 고성장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