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4.05 11:16:03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 치료제/분석,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면역항암제,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마리화나(대마), mRNA(메신저 리보핵산),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미용기기, 치매, 줄기세포, 건강기능식품, U-Healthcare(원격진 료) 등... |
약세 테마 | 피팅(관이음쇠)/밸브, 요소수, 셰일가스(Shale Gas), 원자력발전, 건설기계,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백화점, 조선, 비료,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멘트/레미콘, 철강 주요종목, 골판지 제조, 타이어, 카지노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마이크로바이옴 | 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8년간 4,000억원 투자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아직까지 선점한 업체가 없는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8년간 4,000억원을 투자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김형철 바이오PD는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세미나'에 참석해 "국내에서 지놈앤컴퍼니, 고바이오랩을 비롯한 많은 기업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며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정부 투자 연구비도 약 2,000억원까지 늘었다"고 밝힘. 그러면서 2025년부터 2032년까지 8년에 걸쳐 예산 4,000억원 내외의 범부처 '인체질환 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언급했음. ▷한편,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이 올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지난해 11월 美 FDA가 스위스 페링파마슈티컬이 개발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에 대응한 마이크로바이움 치료제 '레비요타'를 허가한 데 이어 올해 4월 미국 세레스테라퓨틱스가 개발 중인 치료제 역시 FDA 허가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고바이오랩, CJ 바이오사이언스, 지놈앤컴퍼니, 비피도 등 마이크로바이옴 테마가 상승. |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마이크로 LED | 삼성디스플레이, 8.6세대 IT용 OLED에 2026년까지 총 4.1조 투자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오는 2026년까지 4조1,0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초로 8.6세대 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생산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는 지난 3월 발표한 '60조원 지역 투자' 약속의 첫 이행으로, 과감한 선제 투자로 디스플레이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으로 알려짐. ▷이번 투자가 완료되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1위를 차지한 스마트폰 OLED 패널 시장에 이어 IT용 OLED 패널 시장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패널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 1위를 넘겨준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을 한차원 더 높이 재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HB테크놀러지, 엘디티, 케이피에스, 참엔지니어링, 영우디에스피, 라온텍, 루멘스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마이크로 LED 테마가 상승. | |
제약/바이오 | 시장 유동성 개선 기대감 속 바이오주 주가 회복 전망 등에 상승 |
▷상상인증권은 시중 유동성 개선 기대감으로 바이오주 주가모멘텀이 살 아나고 있다고 분석. 특히, 2023년 중반으로 갈수록 금리 인상 중단 여부, 하락컨센서스 형성 가능성 등이 더 관심을 받을 것이며, 시중 유동성 개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조성되면서 성장주인 바이오주의 움직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고 설명. 아울러 주가 모멘텀이 살아나고 있다며, 2023년 1분기에 그러한 분위기가 감지되었고 2분기에 진입하면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힘. 또한, 호재에 대한 바이오주의 주가 민감도가 높아진 만큼, 임상 진전, 학회에서 데이터 발표, 가시적인 신약개발 이벤트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한편, 유진투자증권은 ADC 치료제 시장이 고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2022년 글로벌 ADC 시장 크기는 FDA 승인을 받은 11개 ADC 의약품별 매출액을 합산한 값 기준 70억 달러(+32% y-y)를 상회하였으며, 2023 WORLD ADC London의 주요 화두는 ADC와 면역항암제의 병용요법, 새로운 형태의 컨쥬게이션 약물, ADC 상업화 생산을 위한 CMC, 공급 채널 등에 관한 내용들이었고, ADC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 ▷이와 관련 클리노믹스, 테라젠이텍스, 메드팩토, 에스티큐브, 앱클론, 일성신약, 삼성제약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 |
리튬 | LG에너지솔루션, 中 야화와 수산화리튬 업무협약 체결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LG에너지솔루션은 언론을 통해 중국 리튬화합물 제조 선두업체 야화(Yahua)와 아프리카 모로코 지역에서의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모로코는 미국, EU와 FTA 체결국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MOU를 통해 양극재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 공급망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 핵심원자재법(CRMA) 등 급변하는 대외 경영환경에 보다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지엔원에너지는 지난 3일 장 마감 후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목적 XtraLit Ltd. 주식 75만주를 194.31억원에 신규 취득 결정(취득후지분율:29.88%, 취득예정일:2023-04-06) 공시. 지엔원에너지는 언론을 통해 미국, 아르헨티나, 요르단, 터키 등에서 리튬직접추출(DLE) 사업을 진행 중인 XtraLit Ltd.의 지분 취득으로 최대주주에 등극한다고 밝힘. 또한, 지엔원에너지는 전일 장 마감 후 스왈로 투자조합을 대상으로 100억원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으며, 이 자금은 신규 염호 확보에 사용 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지엔원에너지, 이브이첨단소재, 에코프로, 미래나노텍 등 일부 리튬 테마가 상승. | |
원자력발전 | 美 정부, 한국수력원자력 체코 원전 수출 제동 소식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한국형 원전의 독자 수출 가능 여부를 두고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소송에 휘말린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원전 수출을 미국 정부에 신고했으나 반려된 것으로 전해짐. 미국 정부가 사실상 한수원에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을 강요한 것으로, 한수원이 한국 원전 기술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웨스팅하우스와 합의하지 않는 한 체코 원전 수출이 막힐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4일(현지시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가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해 12월23일 미국 에너지부에 한수원의 체코 원전 사업 입찰과 관련한 정보를 제출했으나, 에너지부는 지난 1월19일 한수원에 보낸 답신에서 "810절에 따른 에너지부 신고는 미국인(US persons: 미국법인이라는 의미도 있음)이 제출해야 한다"며 신고를 반려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록코리아, 비에이치아이, 지투파워, 태광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고바이오랩 | 4,920 | 55 | +1.13%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