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7개월째 뒷걸음 … 저성장 장기화 경고음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입력 : 2023.04.11 22:01:06
입력 : 2023.04.11 22:01:06
IMF, 韓성장률 전망 또 하향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끌어내리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도 3개월 만에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 전체 수출 실적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경기가 추락하며 극심한 수출 부진에 시달리는 것이 하향 조정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7개월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고 올해 들어 1~2월에는 경상수지가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9일 "반도체 산업 경기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악화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6%일 것으로 내다봤지만 외국계 투자은행이 전망한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1%로 한층 비관적이다. 자칫하면 0%대 성장률에 그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씨티(0.7%)는 0%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고, 노무라(-0.4%)는 아예 역성장을 예상했다.
IMF는 이번 4월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올해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월 전망치에 비해 0.1%포인트 하향했다. 또 IMF는 세계 경제의 5년 뒤 성장률인 중기성장률을 3%로 전망했다. 이는 IMF가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내놓기 시작한 199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우리나라와 미국, 캐나다 등이 포함된 선진국 그룹은 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영국(-0.3%)과 독일(-0.1%)은 역성장할 것으로 바라봤다. 중국(5.2%), 인도(5.9%), 러시아 등이 포함된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 그룹은 올해 평균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세계 경제 위협 요인으로 높은 공공·민간부채 수준, 신흥국 및 개도국 중심으로 나타나는 신용 스프레드 상승을 꼽았다. 각국 재정당국에는 통화정책과의 정합성 및 부채 관리를 위해 긴축 재정을 권고하는 한편, 생계비 완화를 위한 재정 지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홍혜진 기자]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끌어내리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도 3개월 만에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 전체 수출 실적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경기가 추락하며 극심한 수출 부진에 시달리는 것이 하향 조정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7개월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고 올해 들어 1~2월에는 경상수지가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9일 "반도체 산업 경기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악화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6%일 것으로 내다봤지만 외국계 투자은행이 전망한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1%로 한층 비관적이다. 자칫하면 0%대 성장률에 그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씨티(0.7%)는 0%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고, 노무라(-0.4%)는 아예 역성장을 예상했다.
IMF는 이번 4월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올해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월 전망치에 비해 0.1%포인트 하향했다. 또 IMF는 세계 경제의 5년 뒤 성장률인 중기성장률을 3%로 전망했다. 이는 IMF가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내놓기 시작한 199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우리나라와 미국, 캐나다 등이 포함된 선진국 그룹은 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영국(-0.3%)과 독일(-0.1%)은 역성장할 것으로 바라봤다. 중국(5.2%), 인도(5.9%), 러시아 등이 포함된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 그룹은 올해 평균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세계 경제 위협 요인으로 높은 공공·민간부채 수준, 신흥국 및 개도국 중심으로 나타나는 신용 스프레드 상승을 꼽았다. 각국 재정당국에는 통화정책과의 정합성 및 부채 관리를 위해 긴축 재정을 권고하는 한편, 생계비 완화를 위한 재정 지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증권센터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내일은 없다”···집 팔아 돈 펑펑 쓰는 이 나라 국민들
-
2
[붐앤쇼크] 한국 주식 비중 줄여야 하나··· “여전히 미국 증시가 더 매력적”
-
3
금 17조원어치 거래했는데 세금은 고작 2천억···다 어디갔지?
-
4
긴 연휴에 고속도로 이용량 일 최대 18%↑…휴게소 매출도 57%↑
-
5
“세계 어디 내놔도 견줄만한 술”…‘진로이즈백’부터 ‘일품진로’까지 [인터뷰]
-
6
與 "한국 포털서 축구 中 응원이 55%?…'차이나 게이트' 떠올라"
-
7
다이아 원석 가격 52주 신저가…"美소비자 체감은 아직 '글쎄'"
-
8
엿새 황금연휴 벌써 닷새째…귀경 정체 서서히 풀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