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식 "구글코리아, 앱 마켓 수수료 매출 실적서 제외"
"6조원 추정되나 법인세 회피"…구글, '싱가포르 법인에 귀속' 주장
이정현
입력 : 2023.04.14 10:28:42
입력 : 2023.04.14 10:28:42

[김영식 의원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구글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18%가량 증가한 가운데 앱 마켓 수수료 매출은 여전히 실적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14일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이 지적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에 따르면 감사보고서상 구글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3천449억원으로 전년 2천924억원 대비 17.9% 늘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8억원을 기록했다.
부문별 매출은 광고·기타 리셀러 수익 1천441억원, 연구개발용역 수익 533억원, 마케팅 용역 지원 수익 1천366억원, 하드웨어 수익 109억원 등으로 파악됐다.
김 의원은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 당시 많은 지적이 있었음에도 여전히 수익 대부분인 앱 마켓 수수료 매출이 실적에서 제외됐다고 지적했다.
앱 마켓 수수료 매출은 구글 아시아태평양 지역 매출에 한국 지역 구글플레이 비중과 광고 비중 등을 적용해 추산하면 최소 4조2천억원에서 많게는 6조4천억원에 이른다는 게 김 의원 설명이다.
김 의원은 "2020년 국세청 자료 분석 결과 구글·넷플릭스 등 글로벌 IT 기업 134곳이 납부한 부가세는 2천376억원으로 네이버 한 개 업체가 내는 법인세 4천500억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이용자들과 한국 기업을 상대로 번 돈임에도, 조세 회피처를 통한 의도적 실적 축소와 편법적인 세금 회피는 대한민국 국민을 기망하는 행위로 볼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구글은 법인세로 지난해 169억원, 20221년 138억원을 납부했는데, 약 6조원으로 추정되는 앱 마켓 수수료가 매출에 포함될 경우 법인세의 규모는 네이버 수준을 고려하면 5천억~6천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김 의원은 "구글의 국내 매출액 해외 이전, 국내 망 무임승차, 앱 마켓 독점 지배력 남용 등 불·편법 및 불공정 행위를 개선할 수 있는 법제도 정비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구글코리아 측은 구글플레이 사업 매출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싱가포르법인인 구글아시아퍼시픽에 귀속되기 때문에 국내 매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lis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2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3
코스닥지수 : ▼1.50P(-0.19%), 776.96P
-
4
ING, 정혜연 신임 한국 대표 선임
-
5
[MK시그널] 대한유화, 수익성 회복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13.48% 기록
-
6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신한지주 5억달러 외화채 발행 성공…금리도 ‘최저’
-
8
코스피지수 : ▲24.39P(+0.80%), 3,083.86P
-
9
바이낸스, 1억 달러 규모 마약 거래 다크웹 해체 지원
-
10
교보증권, POSCO홀딩스 기초자산 월지급식 ELB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