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채권 투자수요 회복에 2월 통화량 증가 전환…12.7조원↑
수익증권 11.1조원 증가…역대 두 번째로 많이 늘어수신금리 하락에 정기예·적금은 증가폭 둔화…M1은 7조원 줄어
박대한
입력 : 2023.04.14 12:00:02
입력 : 2023.04.14 12:00:02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주식과 채권 투자 수요가 회복되면서 2월 통화량이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14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천819조5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0.3%(12조7천억원) 늘었다.
앞서 지난 1월 통화량은 전월 대비 0.1%(3조3천억원) 줄면서 2013년 8월(-0.1%) 이후 9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2월 통화량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를 보인 것은 주식 및 채권 투자 수요 회복 등으로 수익증권이 11조1천억원, MMF에서 6조7천억원이 각각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수익증권 증가액은 2007년 11월(+13조1천억원)에 이은 역대 2위 수준이다.
반면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에서는 각각 8조6천억원과 4조1천억원이 빠져나갔다.
수신금리 하락 등으로 정기예·적금 증가폭(+6조8천억원) 역시 전월(+24조8천억원)보다 크게 축소됐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에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유동성이 17조1천억원 늘었다.
기타 금융기관에서도 MMF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3조8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업의 경우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정기 예·적금 위주로 5조2천억원이 감소했다.
2월 통화량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4.1% 늘어나 전월(+4.4%)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은 2월 평균 1천197조4천억원으로 한 달 새 0.6%(7조원) 줄었다.
M1은 전월 대비로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2월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고, 광의유동성(L·말잔)은 0.4% 증가했다.
pdhis95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니케이지수(일본) : ▲13.89엔(+0.03%), 39,776.37엔 [오후장출발]
-
2
한국특강(007280) 급등세 기록중 +21.46%
-
3
아이스크림미디어, 2025년 사업연도 별도 매출액 2,080억원, 영업이익 660억원 전망
-
4
상해종합지수(중국) : ▲2.57P(+0.07%), 3,457.36P [전장마감]
-
5
펩트론(087010) 소폭 상승세 +3.02%, 외국계 매수 유입
-
6
신한투자증권, 신한베스트크레딧플러스펀드 판매 개시
-
7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8
아이스크림미디어(461300) 소폭 상승세 +5.68%
-
9
“韓 데이터센터 시장 커진다…연평균 26.4% 성장 전망”
-
10
한솔케미칼(014680) 소폭 상승세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