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도 실패해 삼수로?”...케이뱅크 상장 철회시킨 논란들

김민주 매경닷컴 기자(kim.minjoo@mk.co.kr)

입력 : 2024.10.18 16:11:24
수요예측 부진에 상장 철회…내년 ‘삼수’ 기약
고평가 논란·업비트 의존도·오버행 우려 등 발목
‘두 번 실패’ 꼬리표, 보수적 IPO 시장서 불리
“근본적 재정비 필요, 다음 도전까지 시간 걸릴 듯”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케이뱅크 IPO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기업공개(IPO) 재수생 케이뱅크의 두 번째 도전도 좌초됐다.

18일 금융위원회와 투자금융(IB) 업계 등에 따르면 이날 케이뱅크는 증권신고서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

지난 10일부터 진행된 기관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결과를 받은 것이 상장 철회의 배경이 됐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 대다수가 희망 공모가를 하단 가격인 9500원 또는 이보다 낮은 금액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뱅크 측은 “수요예측 결과 총 공모주식이 8200만주에 달하는 현재 공모구조로는 성공적인 상장을 위한 충분한 투자 수요를 끌어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상장 과정에서 받은 기관투자자의 의견과 수요예측 반응을 토대로 공모구조 등을 개선해 내년 초 다시 상장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이뱅크 측은 상장철회가 아니라 연기이며 공모 구조를 변경해 6개월 내 상장에 재도전하겠단 입장이지만 관련 업계에선 세 번째 도전까진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시장이 반응하지 않았다면 그 근본적인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하기에 빠른 시간 내 이어서 도전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케이뱅크는 2022년 코스피 상장을 추진했다 증시 부진의 여파로 2023년 IPO를 철회한 바 있다. 첫 번째 실패의 주요인은 코로나19 펜데믹에 따른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었다. 당시 많은 기업들이 IPO를 연기하거나 취소했고, 케이뱅크 역시 기업 가치를 온전히 인정받기 어렵단 판단 하에 재도전을 기약했다.

첫 번째 때와 달리 이번 철회는 온전히 케이뱅크의 역량·자질에 대한 의구심에 따른 결과란 점에서 세 번째 도전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케이뱅크는 올 초 IPO 재도전을 선언, 지난 8월 유가증권시장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은 뒤 지난달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상장을 준비해 왔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치 고평가 논란, 높은 업비트 의존도와 이에 따른 뱅크런(대규모 자금 인출 사태) 우려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케이뱅크는 피어(비교)기업이자 외형적으로 앞선 경쟁사 카카오뱅크에 비해 공모가 희망밴드를 산정할 당시 PBR(주가순자산비율)을 과도하게 높게 잡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케이뱅크의 희망공모가 밴드는 주당 9500~1만2000원으로, 총 공모액은 7790억~9840억원에 달한다. 희망공모가 상단 기준 예상 시총액은 3조9586억~5조원 수준이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 이후 최대 규모다.

케이뱅크의 공모주 중 상당 부분이 기존 주주들의 주식을 매각하는 구주매출로 구성된 점도 상장 후 주가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히며 발목을 잡았다.

지난 15일 진행된 케이뱅크 IPO 기자간담회에서도 공모 물량 중 절반 정도가 구주매출로 비중이 높은 편이고, 상장 첫날 유통 가능 물량이 37%로 너무 많아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케이뱅크의 성공적인 공생 파트너로 꼽혔던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도 이번 IPO 절차에서 리스크로 떠올랐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케이뱅크의 업비트 단일예금이 20% 수준인데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다”라며 “케이뱅크는 올 상반기에만 854억원의 이익을 기록했지만, 앞으로 업비트 예치금에 대한 이자 비용만으로 연간 867억원을 부담해야 한다”고 케이뱅크의 높은 업비트 의존도를 지적했다.

이어 “업비트 없이 독자 생존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며 “케이뱅크가 상장에 성공하면 잠재적 위험은행이 된다”고 꼬집었다.

이에 이복현 금감원장은 “건전성이라든가 운영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중요한 리스크 요소인 건 맞다”고 인정했다.

황용식 교수는 “IPO 흥행 공식이 깨진 최근 상황 속 시장에선 더욱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분위기”라며 “IB업계, 증권가에서 평판도 인식은 다 공유되고 오래 남기 때문에 케이뱅크의 두 번째 실패란 꼬리표는 세 번째 도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10.18 19:21 더보기 >